최근 10년간 석유제품 수출입 동향

대전--(뉴스와이어)--최근 10년간 석유제품 수출입 동향

Ⅰ. 품목별

1. (석유제품) 최근 10년간 수입량 12.1% · 수출량 79.0% 증가

(수입량) 최근 10년간 12.1% 증가, 전년대비 12.3% 증가한 30,635백만L
- ’02년 29,413백만L →’11년 32,977백만L, ’11.10누계 27,285백만L→’12.10누계 30,635백만L

(수출량) 최근 10년간 79.0% 증가, 전년대비 8.7% 증가한 57,867백만L
- ’02년 36,117백만L →’11년 64,651백만L, ’11.10누계 53,224백만L→’12.10누계 57,867백만L

(단가수준) 최근 10년간 0.91%p 상승, 전년대비 1.04%p 하락

2-1.(경질석유 및 조제품) 최근 10년간 수입량 33.9% · 수출량 48.0% 증가

(수입량) 최근 10년간 33.9% 증가, 전년대비 6.5% 증가한 25,347백만L
- ’02년 21,524백만L →’11년 28,811백만L, ’11.10누계 23,791백만L→’12.10누계 25,347백만L

(수출량) 최근 10년간 48.0% 증가, 전년대비 12.4% 증가한 12,661백만L
- ’02년 9,553백만L →’11년 14,139백만L, ’11.10누계 11,267백만L→’12.10누계 12,661백만L

(단가수준) 최근 10년간 0.03p 상승, 전년대비 0.01p 소폭 상승

2-2.(기타 석유와 역청유) 최근 10년간 수입량 47.5% 감소, 수출량 90.2% 증가

(수입량) 최근 10년간 47.5% 감소, 전년대비 52.2% 증가한 5,232백만L
- ’02년 7,803백만L →’11년 4,100백만L, ’11.10누계 3,438백만L→’12.10누계 5,232백만L

(수출량) 최근 10년간 90.2% 증가, 전년대비 7.7% 증가한 45,206백만L
- ’02년 26,563백만L →’11년 50,512백만L, ’11.10누계 41,957백만L→’12.10누계 45,206백만L

(단가수준) 최근 10년간 0.08p 상승, 전년대비 0.06p 하락

2-3.(웨이스트 오일) 최근 10년간 수입량 23.5% 감소, 수출량 93.9% 감소

(수입량) 최근 10년간 23.5% 감소, 전년대비 0.9% 감소한 55백만L
- ’02년 86백만L →’11년 66백만L, ’11.10누계 56백만L→’12.10누계 55백만L

(수출량) 최근 10년간 93.9% 감소, 전년대비 120.5% 증가한 0.16백만L
- ’02년 1.24백만L →’11년 0.08백만L, ’11.10누계 0.07백만L→’12.10누계 0.16백만L

(단가수준) 최근 10년간 42.3p 상승, 전년대비 42.96p 하락

Ⅱ. 국가별(중량기준)

(경질석유 및 조제품) 수입은 인도産·수출은 對일본 최대, 수출 대상국 2배 가량 증가

(수 입) 10년전 UAE産이 많았으나 지난해 인도産 24.3% 차지
- ’02년 UAE(26.4%), 쿠웨이트(16.1%) 順 → ’11년 인도(24.3%), UAE(16.8%) 順
- (대상국) ’02년 35개국 → ’11년 41개국으로 6개국 증가

(수 출) 對일본 비중 줄고 인도네시아, 중국 등 증가
- ’02년 일본(80.4%), 싱가포르(6.3%) 順 → ’11년 일본(42.7%), 인니(16.4%) 順
- (대상국) ’02년 12개국 → ’11년 23개국으로 2배 가량 증가

(기타 석유와 역청유) 수입은 일본産 · 수출은 對중국 최대, 대상국 수입 50% · 수출 74% 증가

(수 입) 10년전 인니産이 많았으나 지난해 일본産 26.6% 차지
- ’02년 인니(30.5%), 일본(20.7%) 順 → ’11년 일본(26.6%), 싱가포르(22.1%) 順
- (대상국) ’02년 46개국 → ’11년 68개국으로 22개국 증가

(수 출) 對중국 비중 줄고, 전반적인 상위 5개국 비중 감소
- ’02년 중국(24.4%), 일본(22.8%) 順 → ’11년 중국(22.5%), 싱가포르(12.4%) 順
- (대상국) ’02년 73개국 → ’11년 127개국으로 54개국(74%↑)증가

(웨이스트 오일) 對중국 수출 비중 90.1%, 수출 대상국 감소

(수 입) 10년전 일본産이 많았으나 지난해 기타국 86.0% 차지
- ’02년 일본(47.8%), 인니(36.5%) 順 → ’11년 기타국(86.0%), 중국(11.3%) 順
- (대상국) ’02년 23개국 → ’11년 28개국으로 5개국 증가

(수 출) 對인니,러시아 비중 줄고 최근 對중국 수출 증가
- ’02년 인니(44.3%), 러시아(21.0%) 順 → ’11년 중국(90.1%), 인니(2.6%) 順
- (대상국) ’02년 21개국 → ’11년 10개국으로 11개국(52%↓)감소

Ⅲ. 시사점

지난 10년간 석유제품 수입 보다 수출이 크게 증가

’02년 원유 수입금액 192억불 일 때 석유제품 수출금액 62.2억불로 32.4% 수준 이였으나 지난해 원유 수입금액 1,008억불 중 석유제품 수출금액 503.7억불로 수입금액 50% 수준

또한, 석유제품 수입이 ’02년 294억L에서 ’11년 329.7억L로 12.1% 증가하는 동안 수출은 ’02년 361억L에서 ’11년 646.5억L로 79%의 높은 증가를 보임

원유 정제 작업의 고도화 설비를 갖추어 국내 수요를 충당함은 물론 수출로 인한 외화획득 및 무역수지에도 큰 영향

관세청 개요
관세의 부과, 감면, 징수와 수출입품의 통관 및 밀수 단속을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중앙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가 있고 전국에 6개의 지방 세관을 두고 있다. 조직은 통관지원국, 심사정책국, 조사감시국, 정보협력국, 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관지도국은 수출입물품 통관과 휴대품 검사를 관리한다. 심사정책국은 수입물품에 대한 조세 관리 및 관세율 적용을 담당한다. 조사감시국은 밀수품의 반입, 공항과 항만을 감시한다. 정보협력국은 국제 관세기구와의 협력 업무 등을 관장한다.

웹사이트: http://www.customs.go.kr

연락처

관세청
통관기획과
이현주 사무관
042-481-7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