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기술교육원, 10개월간 외국인 대상 기술교육실시 후 수료식 개최
서울시는 지난 7일(금)과 10일(월), 각각 서울시 동부·남부기술교육원에서 기술교육을 받은 외국인에 대한 수료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콜롬비아·케냐 등 13개국 68명에 그린카정비·건축인테리어 등 11개분야 교육>
이번에 수료한 학생들은 콜롬비아, 멕시코, 부탄, 케냐,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등 13개국에 온 68명.
이 자매도시 외국인 훈련생들은 지난 3월부터 서울시 동부·남부기술교육원에서 ▴그린카정비 ▴컴퓨터응용기계 ▴의상디자인 ▴주얼리디자인 ▴건축인테리어 등 총 11개 분야에 대해 실습위주의 집중 교육을 받았다.
교육이외에도 서울의 주요명소 및 시정탐방, 산업시찰을 비롯한 문화체험도 함께 실시해 서울의 발전상과 역사를 몸소 체험하도록 했다.
<수료후 즉시 취업·기술활용 가능 분야 중점교육, ’11년 교육생은 전원 자격증 취득>
서울시는 지난 2001년부터 현재까지 15개국 563명의 해외자매도시 청년층을 서울로 초청해 맞춤기술교육을 무상으로 실시했으며, 이를 통해 서울의 우수 기술을 전 세계에 알리고 있다.
교육학과는 외국인 훈련생들이 수료 후 자국으로 돌아가 바로 취업하거나 기술활용이 가능한 학과들이 대부분이며, 커리큘럼과 훈련시간 등 한국인 훈련생과 동일하게 진행시켜 관련분야 기술을 최대한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훈련성과에 따라 외국인 국가기술자격증 응시 자격도 부여해 2011년 교육생의 경우 100% 자격증을 취득하기도 했다.
<최근 6년간 수료생 360명 대상 조사실시 결과, 76.9%(277명)가 취업 성공>
또 2006년부터 2011년까지 기술교육원을 수료한 외국인훈련생 36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료생의 약 77%, 277명이 취업에 성공하는 등 실제적인 효과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무타즈(25세, 그린카정비과, 수단)는 “수단에서 부족했던 자동차 관련 부품과 정비도구들을 한국에서 마음껏 사용하고 연습해 실력을 키울 수 있어 너무 좋았고 이를 바탕으로 고국에서 선진기술을 펼쳐 보이겠다”며 “또 생전 처음으로 본 눈을 보고 평생 잊지 못할 경험이 될 것이다”라고 하면서 자동차 정비사로서 장래 포부를 밝혔다.
실제로 7년 정도 조리업계 경력이 있는 한스(30세, 외식산업과, 멕시코)는 “멕시코 음식과 한식의 장점을 조합해 새로운 퓨전 음식을 개발하고 싶고, 음식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하겠다. 또 고국에 돌아가 한식을 널리 소개해 한국 음식이 세계화 되는 데 일조하고 싶다”고 말하며 한국을 알리는 민간 전도사 역할을 할 것을 다짐했다.
주용태 서울시 일자리정책과장은 “한국에서의 선진기술을 기반으로 자국으로 돌아가 경제를 이끌어 나가는 인재로 성장하길 바란다”며 “우수 산업기술과 노하우를 젊은 인재들에게 훈련시켜 기술 한류를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경제진흥실
일자리정책과
선일규
02-2133-54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