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1월 수출입 동향

대전--(뉴스와이어)--<‘12년 11월 수출입>

(총괄)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3.8% 증가한 478억불, 수입은 0.9% 증가한 434억불, 무역흑자 43.8억불
(수출) 유로존 재정위기 지속 등에도 불구 무선통신기기(14.4%), 반도체(12.6%), 철강제품(10.5%), 석유제품(10.6%) 등의 선전으로 2개월 연속 수출 증가

- 동남아(17.3%), 중국(10.5%), CIS(20.9%), 일본(3.7%) 등은 수출 증가, EU(△13.9%), 미국(△4.1%), 중남미(△18.3%) 등은 감소

(수입) 원유(14.3%) 수입 증가로 원자재(5.2%)는 6개월만에 수입 증가, 승용차(48.2%) 및 의류(5.6%) 수입증가로 소비재(4.1%)도 소폭 증가, 자본재(△9.1%)는 수입 감소

- 중동(22.8%), 동남아(4.8%), 중남미(3.4%)는 증가, 미국(△13.1%), 일본(△0.4%), 중국(△7.8%) 및 EU(△9.7%) 등은 감소

<‘12년 연간 수출입>
- ‘12년 1~11월 수출 5,031억불, 수입 4,765억불, 무역수지 266억불 흑자

Ⅰ 2012년 11월 수출입동향 및 무역수지

1. 수출 동향

<총괄> 전년동월대비 3.8% 증가한 477.8억불 기록

석유제품(10.6%)·화공품(9.7%)·철강제품(10.5%)·무선통신기기(14.4%)·반도체(12.6%)·디스플레이패널(7.9%) 등 주요 품목 수출 증가, 승용차(1.4%)는 소폭 증가, 선박(△47.8%)은 감소

중국(10.5%)·동남아(17.3%)·CIS(20.9%)·일본(3.7%) 등은 수출 증가, 미국(△4.1%)·EU(△13.9%)·중남미(△18.3%)등은 수출 감소

<주요 품목별> 석유제품·무선통신기기·반도체·액정디바이스·자동차부품·승용차의 수출은 증가, 선박·가전제품은 감소

(승용차) ‘12.6월 이후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마감하고 전년동월대비 1.4% 증가한 40억불 기록

(자동차부품) 연중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하며 전년동월대비 13.4% 증가한 22.4억불 달성

(석유제품) 나프타(△8.4%) 수출이 감소하였으나, 경유(15.2%)·방카C유(9.6%) 등의 수출이 확대되며 전년동월대비 10.6% 증가한 49.4억불

(반도체) 메모리(△11.6%) 수출 감소에도 불구, 프로세서와 콘트롤러(32.2%) 및 기타 개별소자 반도체(30.6%) 등의 수출 증가로 전년동월대비 12.6% 증가한 46.4억불

(선박) 전년동월대비 47.8% 감소한 18억불

(무선통신기기) 3개월 연속 수출이 증가하며 전년동월대비 14.4% 증가한 17.8억불

(가전제품) 전년동월대비 0.3% 감소한 10.1억불

<주요 지역별>중국, 일본, 중동은 전년동월대비 증가, EU·미국으로의 수출은 감소

(중국) 전년동월대비 10.5% 증가한 123.8억불

- 반도체·전기전자제품·화공품·자동차부품·정밀기기 등 수출 증가로 지난달보다 증가폭 확대

* 주요품목 수출증감률(%) : 전기전자제품(30.0), 반도체(47.1), 자동차부품(24.3), 가전제품(17.2), 무선통신기기(20.1), 화공품(6.0), 석유제품(0.3), 철강제품(△11.8), 정밀기기(11.6), 일반기계류(△29.8)

(EU) 전년동월대비 13.9% 감소한 34.7억불

- 무선통신기기·디스플레이패널·화공품 등은 수출 증가, 승용차·철강제품·자동차부품·석유제품·반도체 등은 감소

* 주요품목 수출증감률(%) : 전기전자제품(18.6), 선박(△98.8), 디스플레이패널(12.9), 철강제품(△5.5), 무선통신기기(183.1), 승용차(△5.2), 화공품(4.2), 자동차부품(△4.3), 석유제품(△73.0), 반도체(△33.9)

- 국가별로는 영국·프랑스·슬로바키아 등 11개국은 증가, 독일·폴란드·네덜란드·이탈리아 등 16개국은 감소

* 주요국 수출증감률(%) : 독일(△33.7), 영국(17.1), 슬로바키아(28.6), 폴란드(△15.7), 이탈리아(△33.9), 그리스(△61.4), 프랑스(39.3), 네덜란드(△41.4), 스페인(△11.7), 체코(△5.8), 헝가리(△19.9)

(미국) 전년동월대비 4.1% 감소한 51.8억불

- 승용차·철강제품·반도체·석유제품 등은 수출 증가, 전기전자제품·무선통신기기·선박 등은 감소

* 주요품목 수출증감률(%) : 승용차(29.3), 철강제품(0.9), 석유제품(91.6), 반도체(4.8), 전기전자제품(△13.4), 자동차부품(14.7), 선박(△63.6), 가전제품(7.1)

(일본) 전년동월대비 3.7% 증가한 36.2억불

- 철강제품·반도체·자동차부품 등의 수출은 감소하였으나, 석유제품·무선통신기기·귀금속류 등의 수출은 증가

* 주요품목 수출증감률(%) : 전기전자제품(15.8), 석유제품(6.5), 무선통신기기(13.5), 화공품(13.4),철강제품(△20.5), 반도체(△8.6), 귀금속류(13.1), 자동차부품(△1.9)

(중동) 전년동월대비 1.3% 증가한 30.9억불

- UAE·이란·이라크·요르단 등은 수출 감소, 사우디·이집트·리비아·쿠웨이트 등으로의 수출은 증가

* 주요국 수출증감률(%) : 사우디(45.8), 이집트(10.5), 요르단(△1.6), 리비아(478.4), UAE(△16.3), 이란(△32.8), 이라크(△20.6), 이스라엘(△6.1)

2. 수입 동향

<총괄> 전년동월대비 0.9% 증가한 434.0억불 기록

<품목별> 소비재(4.1%)와 원자재(5.2%)수입은 소폭 증가, 전기전자제품·반도체 제조용장비 등의 수입 감소로 자본재(△9.1%) 수입은 감소

(원자재) 원유 및 나프타, 방카C유 등 석유제품·화공품·비철금속 등 다수 품목의 수입이 증가, 석탄·광물·고무·철강재 등은 감소

* 주요 원자재 수입증감률(%) : 원유(14.3), 석탄(△26.1), 가스(23.8), 나프타(36.3), 철강재(△15.1), 고무(△27.7), 동(22.5), 알루미늄(6.0), 니켈(△21.8)

- (원유) 전년동월대비 중량은 11.5% 증가, 수입액은 14.3% 증가, 도입단가도 증가세가 지속되며 2.6% 증가

(소비재) 소맥·옥수수 등 곡물류(4.2%)와 승용차·가전제품 등 내구소비재(13.2%)의 수입 증가로 전년동월대비 4.1% 증가

* 주요 소비재 수입증감률(%) : 소맥(73.6), 대두(83.8), 쌀(△89.7), 옥수수(81.5), 주류(3.2), 소고기(△0.7), 돼지고기(△29.4), 어류(△7.5), 커피두(△33.2), 가전제품(13.1), 승용차(48.2), 의류(5.6)

(자본재) 반도체제조용장비·컴퓨터·무선통신기기·자동차부품·선박 등의 수입 감소로 전년동월대비 9.1% 감소

* 주요 자본재 수입증감률(%) : 일반기계(5.6), 정밀기기(8.4), 전기전자제품(△0.2), 반도체(6.2), 액정디바이스(6.6), 반도체 제조용장비(△65.5), 컴퓨터(△7.8), 무선통신기기(△56.0), 자동차부품(△19.1), 선박(△23.6)

<지역별>EU(△9.7%)·미국(△13.1%)·일본(△0.4%)·호주(△20.1%)·중국(△7.8%)으로부터는 수입이 감소하였으나, 중동(22.8%), 동남아(4.8%) 및 중남미(3.4%)로부터의 수입은 증가

3. 무역수지 동향

유로존 재정위기 지속 등 대외경제여건 악화에도 불구하고, 주요 수출품목의 선전으로 43.8억불 흑자 달성, ´12.2월 이후 10개월 연속 무역수지 흑자 기록

(주요 흑자국) 對미국 20.2억불, 對동남아 63.3억불, 對중국 54.7억불, 對중남미 7억불, 對동구권 9.2억불

(주요 적자국) 對일본 -17.2억불, 對호주 -11.4억불, 對중동 -80.1억불, 對캐나다 -1.9억불

관세청 개요
관세의 부과, 감면, 징수와 수출입품의 통관 및 밀수 단속을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중앙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가 있고 전국에 6개의 지방 세관을 두고 있다. 조직은 통관지원국, 심사정책국, 조사감시국, 정보협력국, 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관지도국은 수출입물품 통관과 휴대품 검사를 관리한다. 심사정책국은 수입물품에 대한 조세 관리 및 관세율 적용을 담당한다. 조사감시국은 밀수품의 반입, 공항과 항만을 감시한다. 정보협력국은 국제 관세기구와의 협력 업무 등을 관장한다.

웹사이트: http://www.customs.go.kr

연락처

관세청
통관기획과
042-481-7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