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중소기업대상 빅데이터 무료 시범 서비스 실시

- 빅데이터에서 필요한 정보 손쉽고 빠르게 추출하는 분석엔진 ‘T-MR’ 선보여

- 보유 데이터의 분석 원하는 T클라우드 비즈 가입 사업자에게 무료로 서비스

- 한글 도우미 화면 통해 편하게 작업, 초기 구축기간 2~3개월 단축 가능해져

뉴스 제공
SK텔레콤 코스피 017670
2012-12-18 09:02
서울--(뉴스와이어)--C사와 같이 대량의 정보를 모으고 있음에도 이를 분석할 인프라가 부족해 빅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던 중소IT업체들의 어려움이 한결 줄어들게 됐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하성민, www.sktelecom.com)은 대량의 데이터에서 원하는 정보를 쉽고 편하게 얻을 수 있도록 도울 빅데이터 분석엔진(T-MapReduce, 이하 T-MR)을 T클라우드 비즈 사용자들에게 시범 서비스 형태로 무료 제공한다고 18일 밝혔다.

※빅데이터: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도구의 데이터 수집·저장·관리의 역량을 넘어서는 대량의 데이터를 의미하며 대규모 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현대사회를 보다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물론 사회 구성원 별로 맞춤형으로 정보의 분석 및 제공이 가능케 한다.

이에 따라 기술이나 인프라의 부족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중소IT기업들이 고객·재무·업무프로세스 등 기업의 모든 영역을 분석해 효율성을 높이거나 신규 서비스의 출시 등 추가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을 전망이다. 시범 서비스는 내년 1/4분기까지 계속될 예정이다.

T-MR 서비스는 이용자들이 한글화 서비스를 통해 누구나 손쉽게 쓸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또한, 사용 가이드가 탑재돼 전문적 기술 없이는 진행하기 힘들던 빅데이터 분석 작업이 크게 쉬워진다.

이 밖에 아마존 S3 등 국내·외 타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동돼 T클라우드 비즈가 아닌 저장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를 축적해온 이용자들도 손쉽게 T-MR로 자료를 옮겨 활용이 가능하다.

T-MR의 한글화 서비스와 손쉬운 자료 이동 등 편의성 증대는 사업자의 초기 인프라 구축 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은 빅데이터 분석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에도 개발 및 초기 서비스 단계에서 T-MR을 통해 인프라 구축 기간을 2~3개월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SK텔레콤은 내년부터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차트나 그래프 등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능을 추가해 빅데이터의 수집과 저장, 분석, 시각화의 모든 기능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SK텔레콤 한남석 IT기술원장은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지만, 기술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활용이 더딘 상황”이라며 “SK텔레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T-MR 등 빅데이터 관련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더욱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빅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 개요
SK텔레콤은 국내 1위의 무선 통신 서비스회사이다. 유·무선 통신 인프라와 AI 및 ICT 경쟁력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유·무선 통신망을 고도화해 안정적인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고, 구독·메타버스·Digital Infra 등 새로운 영역에서 혁신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ktelecom.com

연락처

SK텔레콤
방송홍보팀
02-6100-3829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