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남학생의 말 못할 고민 ‘남성 유방비대증’

서울--(뉴스와이어)--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은 최근 5년간(2007~2011년)의 남성의 ‘유방비대증(N62)’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환자는 2007년 8,640명에서 2011년 1만 1,070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6.4% 증가하였으며, 전체 총 진료비는 2011년 기준 총 21억 4천만원으로 연평균 7.3%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환자 분석결과 10~20대에서 유방비대증 발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50대 이상부터 연령이 올라갈수록 진료환자가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체 진료환자 중 10대 진료환자 수는 3,165명(28.6%), 20대 2,213명(20.0%)으로 1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진료환자 중 48.6%가 10~20대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0~40대에서 발생률이 낮아지다가 50대 이상(1,032명, 9.3%)부터 증가하였고, 60대 이상은 전체 환자 중 27.5%(3,051명)를 차지하였다.

최근 5년간(2007~2011년)의 진료형태별 ‘남성 유방비대증’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입원과 외래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입원은 2007년 1,073명에서 2011년 1,179명으로 연평균 2.4% 증가하였고, 외래는 2007년 8,469명에서 2011년 1만1,001명으로 연평균 6.8% 증가하였다.

‘남성 유방비대증’과 관련한 건강보험 진료비도 2007년 16억 1천만원에서 2011년 21억 4천만원으로 나타나 2007년보다 2011년 진료비가 약 32.7% 증가하였다.

진료환자 1인당 입원 진료비는 2007년 97만5천원(급여비 77만5천원)에서 2011년 111만6천원(급여비 88만3천원)으로 14.5% 늘었고, 진료환자 1인당 외래 진료비는 2007년 6만7천원(급여비 3만6천원)에서 2011년 7만5천원(급여비 4만1천원)으로 11.9% 증가하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성형외과 권순성 교수는 ‘남성 유방비대증’의 원인, 증상, 치료법 및 예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유방비대증’에 관한 의학적 소견

진단기준 남성의 유방이 지방축적이나 또는 지방조직과 젖샘 조직이 복합적으로 커진 경우 진단한다. 지방축적으로 인한 경우를 남성의 거짓여성유방증(pseudogynecomastia)이라고 부른다. 젖꽃판 아래에 단단한 유방 실질이 증식되어 있으면 남성의 여성유방증 (gynecomastia) 이라고 한다. 사춘기에 흔히 발생하나 대개 3~18 개월 동안 진행된 후에 두드러진다.

원인은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치료목적으로 에스트로젠, 안드로겐, 뇌하수체 호르몬, 부신피질추출물 등의 호르몬을 투여받은 경우이다.

둘째는 신생아나 사춘기의 일시적인 생리적 호르몬 불균형으로 유방이 비대해 지는 것이다. 청소년기에 남성의 유방이 조금 비대해 지는 것은 정상적이라고 볼 수 있고 21세가 되기 전에 퇴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셋째는 질병으로 호르몬 불균형이 있어서 유방이 비대해질 수 있다. 갑상샘, 뇌하수체, 부신 등의 내분비계나 고환의 종양이 있을 경우 그러하다. 간경화증과 같은 간 질환과 동반될 수 있고 전립선암 치료 목적으로 에스트로젠을 사용할 때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나이가 많은 연령일 경우 간 질환을 의심해 보거나 약을 복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내분비내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Klinefelter 증후군 때 여성유방증이 나타나면 유방암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방적으로 유방을 절제 받도록 권한다.

넷째는 원인불명인 것이다. 여성유방증은 대부분이 원인불명이지만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철저하게 병력을 살펴보아야 하고 고환을 포함한 진찰을 받아 보아야 한다.

연령대별 발생율 차이에 관한 의견

McGrath의 보고에 의하면 14~15세에는 연령군 중 65%까지 유방이 비대해 지다가 그 후부터는 점점 없어져 17세가 되면 7.7%에서만 나타난다고 한다. 그러므로 청소년시기에 여성유방증이 있으면 수술받기 보다는 3년 정도 기다려 보는 것이 좋다. 그러나 심리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원인을 찾아서 적합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사춘기 이전에 여성유방증이 있으면 고환의 종양에 대한 가능성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

60대 이상의 경우 질병으로 호르몬 불균형이 있어서 유방이 비대해질 수 있다. 갑상샘, 뇌하수체, 부신 등의 내분비계나 고환의 종양이 있을 경우 그러하다. 간경화증과 같은 간 질환과 동반될 수 있고 전립선암 치료 목적으로 에스트로젠을 사용할 때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나이가 많은 연령일 경우 간 질환을 의심해 보거나 약을 복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내분비내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남성 유방비대증과 유방암과의 관련 여부

남성의 경우에도 유방에 암이 생길 수 있다. 유방비대증의 경우 보통 젖꼭지·적꽃판 복합체 근처를 중심으로 유방이 커진다. 만약 젖꼭지·적꽃판 복합체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유방비대가 있다면 남성 유방비대증 보다는 양성이나 악성 종양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특히, 유방 피부에 함몰이 있거나, 젖꼭지가 안으로 당겨진 경우 의심해 보아야 한다. 성인 남성의 유방비대증에서도 유방암이 발생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유방비대증’의 치료법

치료방법은 위에서 말한 병력에서 원인이 밝혀지면 내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추적관찰을 못하는 환자나, 신경과민, 수개월간 관찰해도 퇴축의 기미가 없는 경우, 내분비계 이상 유무를 확인 하여도 이상이 없는 경우, 악성 종양이 의심되는 경우, 외형적 이유 때문에 수술을 원할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현재까지 남성의 유방비대증 치료는 비대한 유방을 직접 절제하거나 지방흡인술을 시행한다. 수술할 때 환자의 유방에 젖샘 조직이 거의 없고 지방 조직이 대부분이면 지방흡인술 만으로도 가능하다. 그러나 젖샘이 많으면 외과적 방법으로 이를 절제한다. 외과적 방법으로 절제할 때에는 젖꽃판 가장자리를 절개하고 비대한 젖샘조직을 제거한다.

웹사이트: http://www.nhic.or.kr

연락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02-3270-98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