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의 승리, 학교가 변하고 있다…한국학습코칭센터와 잇따른 MOU 체결
- 공교육 강화 움직임
지난 달 말일 2012년 수능 성적이 발표됐다. 전과목 만점자 서준호(포항 동성고3) 군은 인터뷰를 통해 ‘학원, 과외 없이도 학교 수업만으로 열심히 공부했다. 공교육의 승리를 보여주고 싶었다’며 만점 소감을 밝혔다. 서준호 군의 성공에는 뛰어난 학습전략과 함께 변화와 혁신을 향한 학교의 부단한 노력이 뒷받침 되어 있었다.
공교육, ‘자기주도적’ 변화를 시작하다
입학 사정관제 및 자기주도학습전형 등 변화하는 입시제도는 학습자의 주체적인 학습 의지와 자기관리 능력을 매우 중요한 학습 요소로 평가하기 시작했다. 이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중요성을 자각한 교육계의 움직임이 반영된 것으로, 대선과 서울시 교육감 후보들은 한 목소리로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신장을 통한 공교육 활성화를 강조하고 있어, 새 정부가 들어서고 교육 수장이 바뀌어도 이러한 변화의 물결은 지속될 전망이다.
이에 발 맞추어, 학교 및 교육청, 공공기관에서는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학습코칭 관련 연수와 특강을 진행하고 있으며, 학생들에게는 ‘학생 캠프’와 ‘방과후학교’ 등 다채로운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일부 학교에서는 보다 전문적인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의 도입 및 운영을 위해 전문 기관과 손을 맞잡기도 하는데, 올 하반기에도 인천 가좌초와 당진 천의초, 김해 대동중 등은 공교육 중심의 자기주도학습 전문기관인 한국학습코칭센터(KLCC)와 MOU 협약을 체결하며,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습관 정착을 위한 전문적인 프로그램 운영에 장기적인 지원을 약속받았다.
한국학습코칭센터(KLCC)는 올해 초에도 인천 단봉초와 안산 디자인문화고 등과 MOU 협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전국 각지의 교육청 및 교육 연수원, 초중고교 등 200여개 이상의 공교육 기관에서 전문적인 학습 코칭 교육을 진행해오고 있는 공신력 있는 교육 연구 기관이다. 현재는 남원지역교육청과 그 지역 10여개 학교에서 ‘찾아가는 꿈 실현! 자기주도학습 교실’ 이라는 주제로 교사, 학부모, 학생들을 위한 대대적인 ‘남원 릴레이 특강’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미 수강한 학부모들 사이에서도 뜨거운 반응에 힘입어 송파구청, 인천 교육청, 시흥 교육지원청 등에서 진행되고 있는 학부모 학습코칭 프로그램들의 추가 개설이 이어지고 있다.
MOU 협약을 체결한 학교에는 교사 연수를 통해 선생님들이 먼저 자기주도학습을 코칭하는 전문가가 되어, 수업 현장에 효과적인 학습법을 적용함으로써 교실에서의 변화를 이끌어내게 된다. 또한 학부모 연수를 통해 부모가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 코칭 기술을 익힘으로써, 자녀의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게 된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에게는 공부의 원리와 방법, 실전 학습 기술들을 교육하고, 실제로 그것을 습관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 능력을 키움으로써 교사-학부모-학생이 삼위일체가 되어 성과를 창출하는 통합적인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이와 같은 공교육과 전문 기관의 다양한 협력, 변화를 위한 노력들이 모여 사교육 없이도 성공할 수 있는 교육강국 대한민국을 만들기를 기대해 본다.
한국학습코칭센터 개요
한국학습코칭센터는 “스스로 생각하며 배우는 진정한 자기주도학습의 실현”을 모토로 다년간 현장 중심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정진해 왔습니다. 한국학습코칭센터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과 공교육 활성화를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으로서 전국 교육청, 교육 연수원 등에서 교사 직무 연수 및 학부모 연수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고, 각 단위 학교에 교사, 학부모, 학생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보급하며 ‘가정에서 사회까지 하나되어 만드는 선진 교육 문화’의 비전을 실현하는 데에 힘쓰고 있다. 앞으로도 저희 한국학습코칭센터는 인재 강국 대한민국의 초석을 다지기 위한 부단한 노력과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자기주도학습의 표준을 정립함으로써 국가 경쟁력 향상에 일조하는 교육 연구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는데 앞장서겠다.
웹사이트: http://klcc.or.kr
연락처
한국학습코칭센터
전동민 연구소장
1666-0935, 010-6277-8511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