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기준 서비스업부문 통계조사 결과

대전--(뉴스와이어)--2011년 기준 서비스업부문 통계조사 결과(도소매업조사, 서비스업조사,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조사)

Ⅰ. 개 황

2011년 말 서비스업부문(11개 산업대분류) 사업체수는 248만 7천개로 전년대비 3.4%(83천개), 종사자수는 938만 2천명으로 3.1%(282천명), 매출액은 1,395조 9천억원으로 8.3%(107조원) 증가
- 2001년 대비 사업체수 23.4%, 종사자수 44.7%, 매출액 128.6% 증가

전반적인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화학, 석유정제, 철강 및 자동차산업 호황으로 관련 도매업 매출이 증가함에 따라 도매 및 소매업 비중이 증가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 및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의 비중은 도·소매업의 비중 증가로 전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 또는 정체되었으나, 장기적으로는 성장하는 추세

- 도매 및 소매업 : ’01년 68.8% → ’05년 64.5% → ’10년 63.6% → ’11년 64.9%
-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 : ’01년 3.0% → ’05년 3.5% → ’10년 4.1% → ’11년 3.9%
-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 ’01년 4.0% → ’05년 4.7% → ’10년 5.4% → ’11년 5.4%

Ⅱ. 업종별 주요 특징 (2010~2011년)

□ 화학·석유정제·철강·자동차 관련 도매업종 매출액 크게 증가

화학, 석유정제, 철강, 자동차산업에서의 제조업 출하액 증가로 관련 업종의 매출액이 전년대비 크게 증가

⇒ 전체 서비스산업에서의 도·소매업 비중 증가

- 기타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도매업(산업용 기초 유기·무기 화합물) 22.5%
- 액체연료 및 관련제품 도매업 17.0%
- 1차 금속제품 도매업 19.7%
- 자동차 신품 판매업 7.1%, 기타 자동차신품 부품 및 내장품 판매업 10.5%

※ 제조업 출하액 증가율(2010년 대비 2011년)

- 화학 32.5%, 석유정제 32.4%, 철강 21.2%, 자동차 16.3%

□ 소매업종 중 체인화 편의점, 통신기기 소매업, 전자상거래업 등 크게 성장

핵가족화에 따른 소량구매 패턴, 패스트푸드점화, 소자본 창업 가능성 및 상품관리의 편리성 등으로 체인화 편의점은 전년에 비해 사업체수(22.1%), 매출액(17.3%)이 크게 증가한 반면,

- 슈퍼마켓은 사업체수(-0.8%) 정체, 매출액(12.5%) 증가
- 기타 음·식료품위주 종합소매업(구멍가게)은 사업체수(-4.0%) 감소 및 매출액(4.9%) 증가폭 둔화

휴대폰의 진화 및 생필품화로 인해 통신기기 소매업은 전년에 비해 사업체수(13.3%), 매출액(18.5%)이 크게 증가한 반면,

- 서적 및 잡지류 소매업은 사업체수(-2.2%), 매출액(-4.3%) 감소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전자상거래업, 기타 통신판매업은 전년에 비해 사업체수(25.3%, 13.1%), 매출액(16.8%, 12.8%) 크게 증가

□ 식생활의 다양화, 간편식 선호성향 확대로 기타 외국식 음식점, 제과점, 피자·햄버거·샌드위치점, 비알콜 음료점업(커피전문점 등) 성장

식생활의 다양화로 기타 외국식 음식점업(베트남, 인도 음식 등)의 사업체수(14.3%), 매출액(13.9%)이 증가한 반면,
- 한식 음식점업의 사업체수(2.7%), 매출액(5.0%) 성장률 둔화

1~2인 가구의 증가로 간편식이 선호됨에 따라 제과점업(9.4%), 피자·햄버거·샌드위치 및 유사 음식점업(7.3%), 분식 및 김밥 전문점(21.0%)의 매출액 증가
※ 1~2인 가구 비율 : 2005년 42.1% → 2010년 48.1% → 2011년 49.4%

원두커피의 대중화·생활화로 인한 수요증대, 소자본 창업이 가능한 커피전문점 증가로 비알콜 음료점업의 사업체수(17.7%), 매출액(16.2%) 크게 증가

□ 디지털 및 온라인 기술 발달에 따라 게임, 영상, 음악, 정보서비스업 등 관련 업종 크게 성장

미디어 관련 산업의 디지털화로 온라인·모바일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사업체수 36.6%, 매출액 12.9%), 애니메이션 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업(사업체수 16.9%, 매출액 36.3%), 광고 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업(사업체수 27.9%, 매출액 21.6%), 방송프로그램 제작업(사업체수 27.6%, 매출액 27.4%),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사업체수 29.4%, 매출액 31.6%)이 전년에 비해 크게 성장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래밍 서비스업(사업체수 21.4%, 매출액 18.4%), 컴퓨터시스템 통합 자문 및 구축 서비스업(사업체수 23.0%, 매출액 15.7%),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 제공업(사업체수 31.3%, 매출액 30.7%)이 전년에 비하여 크게 성장

□ 교육서비스업, 전반적 둔화 속에 방문 교육학원, 온라인 교육학원 상대적 선전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입학사정관제, 방과 후 학교제도 등 정착에 따라 일반교과학원(1.1%), 외국어학원(4.5%)의 매출액이 전년에 비하여 정체

- 기타 일반교습학원, 예술학원, 컴퓨터학원의 사업체수(0.6%, -0.5%, -2.5%), 매출액(3.2%, 3.8%, -2.0%)도 전년에 비하여 정체 또는 감소

방문교육학원(7.6%), 온라인교육학원(10.3%)의 매출액은 전년에 비하여 증가

□ 건강한 삶, 여유로운 삶에 대한 사회적 욕구 증대는 관련 업종 성장으로 이어져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건강보조식품 소매업(16.3%), 운동 및 경기용품 소매업(12.1%), 자전거 및 기타 운송장비 소매업(13.8%), 스포츠 및 레크레이션용품 임대업(13.4%), 골프연습장 운영업(12.2%), 그 외 기타 스포츠 서비스업(생활체육 등, 16.7%)의 매출액이 전년에 비하여 증가

주5일제 근무 정착으로 인한 여가시간의 확대, 전반적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일반 및 국외여행사업(19.4%), 국내여행사업(20.8%), 공연시설 운영업(15.0%), 그 외 기타 창작 및 예술 관련 서비스업(16.9%)의 매출액이 전년에 비하여 크게 증가

□ 영유아 및 노인복지 관련 서비스업 성장

보육료 지원 확대정책 영향으로 보육시설 운영업(어린이집 등)의 사업체수(9.6%), 매출액(17.4%)이 전년에 비하여 크게 증가

노인인구 증가 및 핵가족화의 진전에 따라 노인 요양 복지시설 운영업, 노인 양로 복지시설 운영업, 개인 간병인 및 유사서비스업의 사업체수(9.1%, 8.1%, 23.3%), 매출액(11.9%, 32.6%, 18.7%)이 전년에 비하여 크게 증가

□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경향으로 미용 관련 서비스업 성장

화장품 및 방향제 소매업, 피부미용업, 기타미용업(네일아트 등), 마사지업(피부경락·스파 등)의 사업체수(9.6%, 11.0%, 15.2%, 14.0%), 매출액(16.5%, 8.6%, 21.6%, 21.0%)이 전년에 비하여 크게 증가

□ 법무 및 회계 관련 서비스업종 매출액 증가

변호사업은 법률시장 개방에 대비한 대형화·전문화로의 전환 및 수임건수 증가 등으로 전년에 비하여 매출액(11.5%) 증가

변리사업은 특허건수 증가 등으로 매출액(9.6%)이 전년에 비하여 증가

법무사업은 비송사건(등기·공탁 등) 등의 증가로 매출액(8.5%)이 전년에 비하여 증가

공인회계사업은 회계감사 및 세무관련 수입 등의 증가로 매출액(11.7%)이 전년에 비하여 증가

□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확대로 매니저업 성장

엔터테인먼트(음악, 방송, 영화 등) 시장의 확대로 관련 산업인 매니저업의 매출액(25.3%)이 크게 증가

□ 건설경기 불황으로 건축기술, 엔지니어링업종 매출액 전반적 부진

도시계획 및 조경설계 서비스업(1.7%)과 환경컨설팅 및 관련 엔지니어링 서비스업(1.7%)의 매출액은 정체

- 건축설계 및 관련 서비스업(-1.2%), 건물 및 토목엔지니어링 서비스업(-2.2%) 등의 매출액은 건물건설업 및 토목건설업 등의 부진으로 감소

□ 국내 광고시장의 확대 등으로 광고업종 성장

광고산업은 국내외 경제 악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간접광고 허용에 따라 전반적인 광고시장 확대, 방송통신 융합에 기반한 인터넷, 모바일, SNS 광고시장 등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광고 출현 등으로 인해 매출액(15.2%)이 전년대비 증가

통계청 개요
통계의 기준설정과 인구조사, 각종 통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외청이다. 정부대전청사 3동에 본부가 있다. 1948년 정부수립 때 공보처 통계국으로 출범해 1961년 경제기획원으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1990년 통계청으로 발족했다. 통계의 종합조정 및 통계작성의 기준을 설정하며, 통계의 중복 방지 및 신뢰성 제고, 통계작성의 일관성 유지 및 통계간 비교를 위한 통계표준 분류의 제정 개정 업무를 담당한다.

웹사이트: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

연락처

통계청
경제통계국 산업통계과
사무관 서병우
042.481.218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