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야생 반달가슴곰 생존 가능성 있다

뉴스 제공
국립공원관리공단
2013-01-01 13:25
서울--(뉴스와이어)--지리산에 인위적으로 방사한 것이 아닌 토종 야생의 반달가슴곰이 생존하고 있을 가능성이 확인됐다.

환경부(장관 유영숙)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정광수)은 2일 복원사업을 진행 중인 지리산 반달가슴곰 중 2012년에 태어난 4마리 중 1마리의 부계(父系) 혈통이 방사한 곰이 아닐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04년부터 2011년까지 도입한 반달가슴곰 36마리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야생에서 출생한 새끼 반달곰 10마리 등 총 47마리에서 추출한 혈액, 모근(毛根), 배설물 등을 이용해 유전자를 분석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2012년 어미곰(RF-18)이 출산한 새끼곰 2마리 중 1마리의 부계(父系)는 방사곰(RM-19)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1마리는 지리산 방사곰과 일치하는 유전자가 없어 토종 야생의 수컷곰과 교배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국립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 한상훈 과장은 “연구결과를 볼 때 태어난 새끼곰과 어미곰의 활동지역이 그동안 야생 지리산 반달가슴곰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으로 야생곰의 생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한편,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그동안 새끼곰의 부계 파악을 교미시기(6~7월)의 무선 위치추적을 통해 번식가능 암컷곰과 수컷곰의 중첩된 행동권을 분석해 결과를 추정했지만, 이번에는 유전자 분석을 통해 좀 더 명확하게 새끼 반달곰의 가계도(부계)를 파악했다.

다른 연구결과에 따르면, 곰들은 암컷이 다수의 수컷과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알라스카 불곰 어미 30개체의 한배새끼 중 4개체(13.3%)의 어미가 서로 다른 수컷과의 교미를 통해 새끼곰을 출산했으며, 미국 흑곰의 가계도 연구에서도 어미곰 7마리 중 2마리 어미곰이 부계가 서로 다른 새끼를 낳은 경우도 있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번 분석결과, 지리산에 복원 중인 복원개체와 출산한 새끼곰은 현재 유전적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2012년 출산한 새끼곰 2마리의 부계가 모두 RM-19로 밝혀져 앞으로 반달가슴곰의 추가적 도입이 없다면 근친교배에 의해 유전적 다양성이 낮아질 우려도 있다고 분석했다.

결국, 이는 반달가슴곰 복원사업과 관련된 개체 도입 시 다양한 유전자형을 가지는 개체를 선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생태복원부(부장 김승희)은 “이번 연구는 출산한 새끼곰의 부계 파악뿐만 아니라 복원 개체곰들의 유전적 다양성과 건강성, 향후 근친번식을 피하기 위한 도입 및 복원계획 수립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공단은 향후 지리산 방사 반달가슴곰 중 2013년 출산 가능성이 있는 반달가슴곰(3마리)에 대해서도 출산 여부 파악 및 유전자 시료 채취를 통해 근연 관계를 밝힐 계획이다.

이와 함께 야생 반달곰의 서식 추정지역을 중심으로 실태 조사와 유전자 확보 등을 지속 추진하며 토종 야생곰의 생존 가능성을 밝히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웹사이트: http://www.knps.or.kr

연락처

국립공원관리공단
생태복원부
양두하 과장
02-3279-2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