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부, ‘2012 문화향수 실태 조사’ 결과 발표
- 월 100만 원 미만 저소득층 문화예술 관람률 증가세
- 문화바우처 이용 경험이 문화향수율 증대에 긍정적 영향 미쳐
‘문화향수 실태 조사’는 2년 주기로 시행되고 있으며, 이번 조사는 전국 16개 시도, 만 15세 이상 성인 남녀 5,000명을 대상으로 1:1 방문 면접조사를 통해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월 100만 원 미만 저소득층의 문화예술 관람률은 ‘10년 대비 2.3% 증가하여 소득별 구분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특히 저소득층에서 문화바우처 이용 경험이 있는 경우 비이용자에 비해 관람률, 향후 관람 의향, 문화공간 연간 이용률 등 모든 분야에서 높은 향수율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 소득 100만 원 미만 저소득층 문화예술 관람률 증가세
저소득층의 예술 관람률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 100만 원 미만 가구의 연평균 관람률은 26.9%로 ‘10년 24.6%에 비해 2.3% 증가하여 소득별 구분에서 예술행사 관람률이 가장 많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대부분의 계층에서는 예술 관람률이 ’10년 결과와 비슷한 수준을 보이거나 다소 감소세를 나타냈다.
또한, 월 소득 100만 원 미만 가구의 문화예술 관람 횟수는 1.6회로, 전체 관람 횟수의 평균인 4.9회에 비해 약 3배 정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08년에 9배 ‘10년에 4.5배 정도 차이가 났던 것과 비교하면 문화향수의 격차가 줄어들었음을 보이는 것이다.
한편, 전체 예술행사 연평균 관람률은 69.6%로 ‘10년 조사결과(67.2%)에 비해 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르별 관람률은 영화(64.4%), 대중음악·연예(13.5%), 연극(11.8%), 뮤지컬(11.5%), 미술 전시회(10.2%), 전통예술(6.5%), 문학 행사(6.1%), 서양 음악(4.4%), 무용(2.0%)의 순서로 나타났다.
문화바우처 이용자, 문화예술 향수율 높게 나타나
저소득층 문화바우처 이용자의 경우 비이용자에 비해 문화예술 향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바우처 이용자는 비이용자에 비해 예술행사 관람률 약 1.6배, 관람 의향 약 8배, 문화공간의 연간 이용률 약 3배 등, 모든 분야에서 비이용자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어, 문화바우처 사업이 저소득층의 문화향수율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유아동기·청소년기에 문화예술 경험이 있는 사람의 예술행사 관람률, 관람 의향 등이 문화예술 경험이 없는 사람에 비해 높게 나타나 과거의 문화예술교육 및 행동의 경험이 미래의 문화예술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문화예술행사 관람 선택기준이 내용적인 측면으로 변화
예술행사 관람 장애요인으로는 ‘관심 있는 프로그램이 없음(31.7%)’을 1순위로 꼽았으며, ‘시간 부족(21.6%)’, ‘경제적 부담(19.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관심 있는 프로그램이 없음’이 ’10년 대비 20% 이상 증가해 ‘시간 부족’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문화예술행사 관람 선택 기준은 ‘내용 및 수준(40.9%)’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관람비용 적절성(21.5%)’, ‘참가자 유명도(14.0%)’의 순서대로 나타났다. 이를 ‘10년 결과와 비교해 보면, 관람 비용 적절성은 약 17% 감소한 반면, ‘내용 및 수준’, ‘참가자 유명도’는 증가한 것이다.
문화부는 이번 조사를 토대로 국민들이 문화향수 장르를 다양화하고, 문화바우처 사업 확대 등 저소득층·노인층 등 문화소외계층에 대한 정책을 강화하는 한편, 문화예술행사 및 참여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국민들의 문화향유 진흥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문화체육관광부 개요
문화, 예술, 체육, 관광, 종교, 미디어, 국정홍보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 부처이다. 2008년 문화관광부와 국정홍보처, 정보통신부의 디지털콘텐츠 기능을 통합해 문화체육관광부로 개편했다. 1차관이 기획조정실, 종무실, 문화콘텐츠산업실, 문화정책국, 예술국, 관광국,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을 관할하며, 2차관이 국민소통실, 체육국, 미디어정책국, 아시아문화중심추진단을 맡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문화재청, 대한민국예술원, 한국예술종합학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국어원, 국립중앙도서관, 국립극장, 국립현대미술관, 국립국악원, 국립민속박술관, 한국영상자료원, 해외문화홍보원, 한국정책방송(KTV) 등을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cst.go.kr
연락처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여가정책과
주무관 남태평
02-3704-9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