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점심시간 1시간 앞당겨 전력위기 해소 앞장
이번 점심시간대 변경은 서울시뿐만 아니라 자치구까지 전 직원인 총 4만 명에 대한 점심시간이 오전 11시부터 12시까지로 당겨지게 되는 것으로서 직원 근무기준을 변경하여 1월 9일부터 10일까지 2일간 자율적 참여 안내후 11일부터 2월 8일까지 한 달간 이뤄지게 된다.
올 겨울 최악의 한파로 전력수요가 사상 최대치를 경신한 가운데 최대전력 수요 경신은 올 겨울 들어서만 세 번째로서 현재 전력예비력이 400만 kW 이하인 비상단계로 떨어져 위기 상항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전력 위기상황은 전력발전시설이 추가로 완공되는 ‘13년 말 700만kW의 신규 공급량이 확보돼 ‘14년부터 해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서울시는 동절기 전력피크기간인 1월 둘째 주부터 2월 첫째 주 중 피크시간대인 오전 9시~12시 내로 점심시간을 변경함에 따라 피크시간 중 1시간 동안 직원들이 자리를 비우게 되면서 조명 및 컴퓨터 등의 전력사용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라고 절감효과를 설명했다.
이렇게 되면 전력피크시간대 최대 1만8천kWh(서울지역 피크 증가 기여율의 5.3%)의 절약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1시간 동안 형광등 60만개를 동시에 사용하는 전력과 같은 양이다.
※ 사무기기(컴퓨터: 200kw/대, 프린터: 300kw/대), 조명시설(200w/인) 기준
단, 서울시는 점심 및 근무시간 변경에 따른 시민불편이 최소화되도록 민원실은 현행과 같이 교대 근무 등을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변경된 시간을 시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등 사전 안내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앞서 시는 점심시간 내 대기전력 차단, 적정 실내온도 준수 등 각종 절약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한편, 1월10일(목) 10시부터 20분 동안 전 국민이 참여하는 ‘겨울철 정전대비 위기대응 훈련’이 실시된다. 일반 시민들은 훈련이 진행되는 20분간 자율적으로 절전하고, 공공기관은 의무단전 및 비상발전기를 가동한다.
임옥기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전력 위기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적극적인 절약운동이 반드시 필요한 때”라며, “이번 점심시간 변경은 전력수요 절감을 위해 공공에서 먼저 앞장선 선례로서 이를 계기로 기업 및 시민 등 민간에서도 자율적인 참여가 활발해져 전력위기를 함께 극복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기후환경본부
녹색에너지과
이재성
02-2115-7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