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1월 AI 발생 가능성 최고조…차단방역 강화 당부

- 사료 방치 금지․축사 그물망 보강·신속한 의심축 신고 등

무안--(뉴스와이어)--전라남도는 최근 기온이 떨어지고 눈이 자주 옴에 따라 철새 등 야생조류가 먹이를 찾아 축사에 접근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고병원성 AI의 유입 방지를 위해 축산농가에서 차단방역을 강화해줄 것을 당부했다.

8일 전남도에 따르면 국립환경과학원 자료 분석 결과 겨울철새의 국내 유입 시기는 9월 중순부터 시작해 10월 중순에서 11월 말에 본격적으로 유입이 증가한다. 최근 3년간 철새 종류는 변화가 없지만 가창오리는 감소했고 주요 전파 개체로 추정되는 청둥오리와 쇠오리, 기러기 등은 줄지 않아 발생 위험도는 여전히 남아 있다.

AI 발생 추정 시기는 야생조류의 경우 10월 하순부터 11월 중순께이고 이에 따른 축산농가 유입 우려 시기는 1월 중순께까지다. 지난 2011년 전국적으로 발생한 총 53건의 고병원성 AI도 1월에 40건(75%)이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전남에서도 지난 2010년 12월 해남지역의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AI가 검출된 직후 2011년 1월 5일 영암 오리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바 있다.

전남도는 당시 전남에 잦은 폭설과 혹한이 이어졌음을 감안할 때 기온이 하강하는 1월이 재발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기로 추정하고 있다.

안병선 전남도 축산정책과장은 “AI의 발생 방지를 위해서는 농가는 물론 도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한 만큼 매일 농장을 소독하고 외부인이나 차량 출입을 통제하고 의심가축 발생 시 신속히 신고(전화 1588-4060)해야 한다”며 “가축 자연면역력 향상을 위해 적정 사육밀도를 준수하고 농장 입구에 출입통제 안내판과 출입통제띠를 설치하고 사육시설에 사료를 방치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등 차단방역에 적극 협조할 것”을 당부했다.

전라남도청 개요
전라남도청은 200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 당선된 이낙연 도시자가 도정을 이끌고 있다. 전남도는 동북아 물류·관광·미래산업 선도지역을 만들어 가겠다는 비전을 삼고있다.

웹사이트: http://www.jeonnam.go.kr

연락처

전라남도
축산정책과
061-286-655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