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도 KRX 국채전문유통시장(KTS) 동향
□ 국고채 지표물 거래량, 사상 첫 1,200조원대 돌파
※국채전문유통시장 : 한국거래소가 지표금리 육성, 시장의 가격투명성 제고 및 국고채시장 활성화를 위해 정부정책 지원하에 ‘99년 3월 개설한 국채전자거래 시장
'12년도 거래소 국채전문유통시장의 국고지표물* 거래량은 전년(712.8조원) 대비 517.5조원 증가(+72.6%)한 1,230.3조원 기록
* 시중금리 형성의 기준 채권으로 경쟁입찰로 발행한 국고채권중 발행만기별(3년5년,10년20년)로 가장 최근에 발행한 종목
금리하락기 시장변동성 축소1)에도 불구, 3년 연속 유동성 최고치2)를 경신하였으며, 증가폭도 4년 연속 확대3)
1)5년지표물 장내종가수익률의 표준편차(bp) : (‘09)44.8→(‘10)36.8→(‘11)28.5→(‘12)28.2
2)연도별 거래량(단위:조원) : (‘10)312.3→(‘11)712.8→(‘12)1,230.3
3)연도별 거래량 증가액(전년대비, 단위:조원) : (‘09)55.9→(‘10)87.1→(‘11)400.5→(‘12)517.5
지표5년물이 전년(271.6조원) 대비 498.2조원 증가(+183.4%)한 769.7조원 거래되어 사상최고치 기록
기준금리와의 스프레드 축소*에 따른 3년물의 수익률 하방경직성 우려로 중기물인 5년물의 대체수요 유입
* 3년물-기준금리 스프레드의 연도 평균 : (‘11) 0.51% > (‘12) 0.07%
금리인하의 기대감이 반영되어 금리하락기 가격변동성(상승)이 높은 중·장기채 거래량이 증가(5년물 이상 거래비중 78.5%)
물가채는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및 발행물량 증가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
국고지표물은 장내거래비중은 63.6%로 최고치 기록
’08년도 7월 PD 장내거래의무 폐지 이후 급감하였던 국고지표물 장내거래 비중은 ‘09년 이후 3년 연속 증가하며 장외거래를 추월
□ 시장의 질적 성장
시장심도(Market depth) 강화로 안정적 체결기능 제고
국고지표물의 5우선호가 평균잔량은 4,817억원으로 전년(2,333억원) 대비 2,483억원(+106.4%) 증가
가격대별 호가잔량이 풍부하여 원하는 가격대의 수량을 장외시장 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거래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 50억원 이상 대량매매가 증가*
* 대량매매(조원, 비중) : (‘10)90.68(29.0%)→(‘11)185.1(26.0%)→(‘12)547.4(44.5%)
시장호가 스프레드* 축소로 시장효율성 증가
* 최우선매도호가와 최우선매수호가의 가격차이로 클수록(작을수록) 매매거래시 암묵적 비용(implicit cost)이 증가(감소)
국고지표물 평균 시장호가 스프레드는 4.3원으로 전년(5.5원) 대비 1.2원(-21.8%) 감소하였으며, 장기채인 20년물의 감소율(-40.6%)이 가장 높음
전 지표물의 일평균 시장호가 스프레드가 의무호가 스프레드* 이하로 축소되어 가격발견 및 거래체결 기능 개선
* PD가 시장조성을 위해 제시해야 하는 양방향 의무호가 허용 범위
□ 장내 국고채시장 평가
실시간 지표금리 제공으로 금융시장 발전에 기여
장내 국고채시장은 신고되거나 평가된 수익률이 아닌, 실시간 체결수익률을 지표금리로 제공하여, 금융시장 상황을 빠르고 투명하게 반영하고,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벤치마크로 활용할 수 있는 금융시장 인프라를 제공
또한, 국고채전문딜러의 지속적이고, 유효한 가격제시를 통해 국고채 유통시장의 안전성을 유지
국고지표 중장기물의 거래량 증가가 두드러짐
2011년 이후 국고지표3년물을 대체하여 국고지표5년물과 국고지표10년물의 거래량이 빠르게 증가
가격효율성 등 장내시장 장점 부각으로 장외거래의 장내유입
시장변동성 축소로 장내시장의 가격탐색비용의 상대적 저렴* 및 시장심도 강화로 신속한 체결이 가능하여 장외거래의 장내시장 유입**
* 장외시장은 수익률호가(단위:0.5bp)인데 반해, 장내시장은 가격호가(1원단위) 방식으로 보다 정교한 거래가 가능 (0.5bp를 가격으로 환산시 약 1.5원 ~ 10원 수준)
** 장외시장 국고지표물 거래량은 ‘12년도 기준 전년대비 178.6조원(-11.3%) 감소
시장지향적 제도개선의 성공적 정착
장내시장 시장조성 기능강화를 위한 2단계 의무호가 개편 및 물가채 시장조성 제도가 시장 적응기간을 거쳐 성공적으로 안착하였고,
* 양방향 호가개수 확대[1개→(’10.1월)5개→(‘10.12월)10개], 양방향 호가스프레드 축소
’12년 PD-PPD간 승강제 실시로 PD간 경쟁체제가 구축되어 자생적 시장활성화의 기반 마련
한국거래소(KRX) 개요
한국거래소는 증권 및 파생상품시장을 개설, 운영하여 국민에게는 금융투자수단을, 기업에게는 직접자금조달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우리나라 자본시장의 핵심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rx.co.kr
연락처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 채권시장부 국채시장팀
3774-8665
이 보도자료는 한국거래소(KRX)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