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개설 10주년, 2012년 ETF시장 결산과 전망
Ⅰ. ETF시장 규모 큰 폭 성장
2012년 개설 10주년을 맞이한 국내 ETF시장의 순자산총액은 전년도 9조9,065억원에서 48.6% 증가한 14조7,177억원으로 15조원 규모로 성장
* 아시아 역내 거래소 중 한국시장의 순자산총액은 12,733US$m로 일본(46,769US$m), 홍콩(29,878US$m), 중국(20,617US$m)에 이어 4위 차지
2002년 ETF 개설 당시 3,444억원 대비 43배 규모 성장
ETF 상장종목 총수는 135종목이며, 2012년간 29개 종목이 신규상장
* 한국시장은 상장종목수 133개로 전년도에 이어 아시아 역내 거래소 중 1위이며, 일본 130개, 홍콩 100개, 싱가포르가 99개로 그 뒤를 이음(출처 : 순자산총액 및 종목수 Deutsche Bank, ‘Weekly ETF Market Review’ '12.11.23일자)
키움자산운용, 동부자산운용, 하나UBS자산운용 등 3개 자산운용사가 ETF시장에 신규 진출하여 총 16개 운용사가 참여하고 있음
Ⅱ. 주식시장 및 주식형 펀드시장 대비 높은 성장
(주식시장 vs ETF 순자산총액 추이 비교)
ETF의 순자산총액은 ‘12년말 기준 코스피 시총대비 1.3%, 일평균거래대금은 11.3%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특히 ‘12년 3분기 이후 주식시장이 횡보 국면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ETF시장으로는 지속적으로 자금이 유입되고 있음
(주식형 펀드잔고 대비 ETF 순자산총액 추이)
주식형 펀드 잔고가 감소세를 그리던 ’09년 이후에도 ETF의 순자산총액은 꾸준히 증가했으며, 일반 주식형 펀드의 환매 추세에도 불구하고, ETF 시장에서는 다양한 상품 상장 및 자금 유입이 지속
이는 저비용 · 높은 환금성의 장점을 가진 ETF 상품이 주식형 펀드의 대안상품으로서 투자자들에게 급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줌
Ⅲ. 개인 거래비중 감소, 외국인/기관 소폭 증가
2012년 ETF시장의 일평균거래대금은 5,442억원으로 전년대비 11.2% 증가
전체 투자자중 개인 거래비중은 42.4%를 차지하였으며, 이어서 외국인 27%, 기관투자자가 17.6%를 기록
특히 2011년간 개인의 ETF 거래비중은 51.2%에 육박했으나, 레버리지ETF에 대한 위탁증거금 100% 적용 및 신용거래금지 조치 이후, 점차 안정화되면서, 전년대비 8.8%p 비중 감소
상대적으로 외국인과 기관의 투자비중이 각각 4.5%p, 3.1%p 증가하여, 외국인과 기관투자자의 ETF시장 참여가 확대되어 국내 ETF시장이 한 단계 질적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상품유형별 거래동향은 여전히 레버리지·인버스ETF가 71.5%로 높은 거래비중을 차지했으며, 시장대표ETF가 23.4%로 뒤를 이음
전년대비 파생형 ETF 거래비중은 3.5%p 감소(레버리지 1.9%p↑, 인버스 5.4%p↓)한 바, 이는 ‘12년 시장의 상승세로 인한 인버스 거래 감소에 기인
Ⅳ. 다양한 신종 ETF 상장으로 상품라인업 강화
거래소와 자산운용업계의 창의적인 상품개발 노력으로 혼합형 ETF 뿐만 아니라, 국내 최초 구리실물 ETF 등 신종 ETF 다수 상장
주식/채권 혼합형 ETF인 KStar 5대그룹주장기채+(5.23 상장) 및 주식/금 혼합형 KODEX 주식&골드(H)(10.10 상장)가 상장
채권 기반 레버리지 ETF로서 10년 국고채지수 일간변동률의 2배수로 연동되도록 운용되는 KOSEF 10년 국고채 레버리지ETF가 상장(10.30)
중국본토 A주에 투자하는 KINDEX 중국본토 CSI300 ETF가 국내 최초 거래소에 상장(11.29)되어 중국본토 주식의 저비용 투자기회 확대
조달청의 민관공동비축사업의 일환으로 아시아 최초의 비철금속 실물을 기초로 하는 TIGER 구리실물ETF가 상장(12.17) 되는 등 다양한 운용기법과 기초자산의 ETF 상품 라인업 강화
Ⅴ. ETF 운용사 현황 및 보수인하 경쟁
2012년에는 키움자산운용, 동부자산운용, 하나UBS자산운용이 신규 진입함에 따라 총 16개 운용사가 ETF시장에 참여하고 있음
삼성자산(54.8%)-미래에셋자산(17.6%)-우리자산(6.4%)순으로 순자산총액 상위그룹 형성
상장종목수는 미래에셋자산(45종목)-삼성자산(28종목)-우리자산(16종목)순이며, 삼성자산운용은 전체 거래대금의 90.1%를 차지
자산운용사간 경쟁적인 ETF 보수 인하로 전체 ETF의 총보수는 평균 39bp 수준으로 낮아져, 글로벌 보수 평균 이하 수준으로 하향되어, 투자자에게 보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투자기회 확대
삼성자산운용은 KODEX 레버리지 및 인버스 보수를 93bp→ 79bp(‘12.6월)→ 64bp(’12.12월)로 인하했으며, 기타 MSCI Korea ETF 등 총 6개 종목 보수 인하
한국투자신탁 운용 역시 KINDEX 200을 30bp → 15bp, KINDEX 레버리지 70bp → 30bp 등 총 8개 종목 보수 인하(’12.9월)
이외 미래에셋자산운용도 TIGER 200을 기존 15bp → 9bp으로, TIGER 레버리지 및 인버스를 70bp → 59bp로 6개 ETF 보수를 인하하는 등 업계 전반적인 보수 인하 경쟁이 치열한 양상을 보임
Ⅵ. 2013년 국내 ETF 시장 전망
ETF시장은 합성ETF 등 새로운 상품 도입과 기관의 시장참여 확대, 퇴직연금*, ETF랩 등 수요기반 확대로 지속 성장 기대
* 퇴직연금 확정기여(DC)형에 대해 ETF 등 주식형/혼합형 펀드 40%까지 투자 가능
ETF시장은 ‘02년 개설이후 연평균(CAGR) 45.6%씩 성장하여 왔으며, ’13년에는 약 18조원, ‘15년에는 약 30조원의 규모까지 성장 가능할 것으로 전망
* 지난 ‘11년 맥킨지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ETF시장 전체규모를 2015년 최대 4.7조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
한국거래소(KRX) 개요
한국거래소는 증권 및 파생상품시장을 개설, 운영하여 국민에게는 금융투자수단을, 기업에게는 직접자금조달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우리나라 자본시장의 핵심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rx.co.kr
연락처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 증권상품시장부 상품개발팀
3774-9375
이 보도자료는 한국거래소(KRX)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