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이병완 교수팀, 약 아닌 항체로 당뇨 치료

서울--(뉴스와이어)--한국인 당뇨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2형 당뇨병. 이들 당뇨병 환자들은 대부분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거나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켜 혈당을 조절하는 경구용 약제(경구혈당강하제 또는 항당뇨병약제)로 치료받아 왔다. 상태에 따라서 인슐린 주사를 사용하기도 했다.

기존의 당뇨병 치료 약물은 체중 증가 및 저혈당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었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이병완 교수, (주)네오팜 윤선주 박사팀은 기존 치료와 전혀 다른 당뇨병 치료 약물인 <제2형 당뇨치료용 항체(NPB112)>가 기존 약물의 부작용인 체중 증가 및 저혈당이 없다는 것을 입증했다.

㈜네오팜이 개발한 새로운 당뇨치료용 항체(NPB112)는 혈당을 올리는 호르몬인 글루카곤에 대항하는 항체 역할을 한다. 글루카곤의 혈당을 올리는 효과를 차단함으로써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낮추는 것이다.

특히, NPB112는 사람의 몸속에 있는 항체와 완전 동일해, 기존 당뇨병 치료제 부작용인 인슐린 부종, 인슐린 알레르기, 저혈당 등을 최소화 했다.

이병완 교수팀은 실험용 쥐 실험<자료1>을 통해 NPB112의 효과를 입증했다. 실험 결과 공복 혈당 감소, 저혈당 감소,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됐다.

이번 내용은 작년 12월 PLOS one잡지에 게재됐고, 제2형 당뇨치료용 항체(NPB112)는 현재 영장류를 이용한 약리 독성 평가를 진행 중이다.

실험은 총 대조군 10마리, 실험군 10마리의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대조군(위약(placebo) 투입, 파란차트)에는 몸무게 1kg 당 식염수(위약)가 5.0mg이 투여됐다. 실험군(NPB112 투입, 빨간차트)에는 몸무게 1kg 당 NPB112 5.0mg이 투입됐다. 실험결과는 위약과 NPB112를 각 1회 투입했을 때의 변화다.

차트 A는 공복 혈당 측정(Plasma glucose)을 측정했다.

대조군에서는 공복 혈당이 152mg/dL로 측정됐다. 실험군에서는 공복 혈당이 152mg/dL에서 122mg/dL로 감소했다.

차트 B와 C는 혈당이 어떻게 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평가로 간에서 혈중으로 나오는 혈당을 평가했다.

대조군은 투약 전후에 변화가 없었지만(분당 몸무게 1kg기준으로 9.8mg에서 9.6mg으로 감소), 실험군에서는 분당 8.3mg/kg 나오는 혈당이 5.6mg/kg로 감소됐다.

차트 D는 간에서 인슐린 감수성(일정량의 인슐린을 투여하였을 때의 혈당 저하도)을 보는 실험으로 실험군이 대조군에 25%의 인슐린 저항성(다량의 인슐린주사에 의해서도 혈당강하가 일어나지 않는 상태)이 개선됐다.

연세대학교 의료원 개요
연세대학교 의료원은 1885년 미국 선교의사 알렌(Dr. H. N. Allen)에 의해 세워진 한국 최초의 현대적 의료기관으로서 광혜원으로 출발하여 제중원, 세브란스병원을 거쳐 현재의 의료원으로 성장하였다. 연세대학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산하에 교육기관으로는 보건대학원, 간호대학원, 의․치학전문대학원과 의과대학, 치과대학, 간호대학이 있으며 현재까지 졸업생은 총 25,985명에 이르고 있다. 또한 진료기관으로는 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치과대학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 등이 있으며 세브란스병원 산하 암센터, 재활병원, 심장혈관병원, 안․이비인후과병원, 어린이병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 산하 척추병원, 치과병원, 암병원 등 총 8개의 전문병원이 있다. 의료원 총 직원 수는 의사직 2,000여명, 일반직 5,800여명 등 총 7,800여명 이며 총 병상 수는 3,137병상이다.

웹사이트: http://www.yumc.or.kr

연락처

연세대학교 의료원
홍보실
이재욱
02-2228-1075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