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문화유산 테마별 온라인 지도서비스 시행

대전--(뉴스와이어)--문화재청(청장 김 찬)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문화유산 온라인 지도서비스인 ‘문화재공간정보서비스’(http://gis-heritage.go.kr)를 확대 개편하여 테마별로 유익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문화유산 테마지도서비스’를 시행한다.

이 지도서비스는 동북아 역사문화유산, 세계유산, 천연기념물, 문화재 통계 등의 주요 테마를 기존에 제공하고 있던 문화유산 지도서비스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지도에 담은 것으로, 단순 위치조회가 아닌 역사적 사실과 다양한 콘텐츠를 지도기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확대하였다.

특히 ‘동북아 역사문화유산’ 지도에서는 고조선, 고구려, 발해 등 우리 민족의 역사적 자취를 확인할 수 있는 중국 동북 3성, 러시아 연해주, 북한지역의 주요 역사문화유산 총 260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것은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실시한 중국지역 한민족 역사연구, 북한과 발해의 문화유산 종합학술연구 성과를 지도와 함께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현실적으로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분포하는 우리 민족 역사문화유산을 위성지도 위에서 답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 ‘우리의 세계유산’ 지도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우리 문화유산의 핵심구역과 완충구역을 지도를 통해 한눈에 살펴 볼 수 있다. 문화재청의 문화유산 정보서비스와 유네스코 홈페이지의 World Heritage List를 연계하여 국내외의 우리 세계유산 정보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밖에 ‘천연기념물 생태지도’에서는 천연기념물 독수리의 국내외 이동과 서식지 이용실태 연구를 위해 2011년 12월 위치추적장치를 부착하여 방사한 독수리의 몽골에서 귀향 경로를 지도상에 날짜별로 살펴볼 수 있다. ‘문화재 통계지도’는 기존 문화재청 주요 통계자료에서 제공되었던 정보를 행정구역별 분포지도로 시각화하여 직감적으로 문화재 통계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주요 고고유적 발굴조사 정보와 한·중·일 고인돌 분포현황 등 다양한 콘텐츠의 테마지도를 추가하여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를 국민과 공유할 예정이다.

문화재청 개요
우리나라의 문화적 정체성을 지키고 대한민국 발전의 밑거름이 되어 온 문화재 체계, 시대 흐름에 맞춰 새롭게 제정된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60년간 지속된 문화재 체계가 국가유산 체계로 변화한다. 과거로부터 내려온 고정된 가치가 아닌 현재를 사는 국민의 참여로 새로운 미래가치를 만드는 ‘국가유산’.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은 국민과 함께 누리는 미래가치를 위해 기대할 수 있는 미래를 향해 새로운 가치를 더하고 국민과 공감하고 공존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를 지키며 과거와 현재, 국내와 해외의 경계를 넘어 다양성의 가치를 나눌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cha.go.kr/

연락처

문화재청
정보화기획팀
042-481-462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