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특허분류 서비스 870만 달러 수출 쾌거

- 고급인력 약 200명 일자리 창출 효과

대전--(뉴스와이어)--특허청이 870만 달러의 특허분류 서비스를 미국에 수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고급 전문인력 약 2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가 예상된다.

특허청(청장 김호원)은 14일 미국특허청과 870만 달러 규모의 미국 특허문헌 재분류 서비스 수출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기존 미국 특허문헌을 국제특허분류*체계에 맞도록 재분류하는 것으로 미국 특허청의 요청에 의해 2009년부터 수행해온 사업이다.

* 국제특허분류(IPC) :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에서 관리하며 전세계 대부분 국가가 사용하는 특허분류체계

재분류 업무는 특허청의 감독하에 한국특허정보진흥센터(PIPC)가 실무작업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 MOU의 체결로 연봉 5000만원 수준의 이공계 전문인력 약 200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특허심사나 R&D 과정에서 유사한 기존 특허문헌을 검색할 때, 특허분류를 사용하여 검색범위를 좁혀나가므로 정확한 분류 여부가 특허검색의 품질을 좌우한다. 이러한 중요한 업무를 미국 특허청에서 의뢰한 것은 한국 특허청이 그만큼 국제적으로 신뢰받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 사업은 1차(2009~2010년) 30만 달러 규모로 시작하여 2차(2011~2012년) 75만 달러, 그리고 이번 3차 사업에서 870만 달러 규모로 대폭 확대되었다.

이번 MOU 체결은 IP5*간 특허분류 정책 논의를 주도하는 등 지식재산 행정 한류 확산을 추진해온 김 청장의 특허외교가 결실을 맺기 시작한 것으로 평가된다.

* IP5(선진 5개 특허청) : 한국, 유럽, 미국, 일본, 중국특허청

미국 특허청이 우수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을 겸비한 한국 특허청의 서비스에 높은 만족도를 표시하고 있어 사업의 지속 확대가 기대된다.

특허청 전기전자심사국 김연호 국장은 “우리나라 지식재산 전문인력의 우수한 실력을 인정받은 것”이라며 “이 사업이 지식재산을 이용한 외화 획득 및 일자리 창출의 성공모델이 될 수 있어 사업 확대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특허청 개요
특허청은 특허와 실용 신안, 디자인(의장) 및 상표에 관한 사무와 이에 대한 심사, 심판 사무를 수행하는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관, 산업재산정책국, 정보기획국, 고객협력국, 상표디자인심사국, 기계금속건설심사국, 화학생명공학심사국, 전기전자심사국, 정보통신심사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기관으로 특허심판원과 특허청서울사무소, 국제지식재산연수원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kipo.go.kr

연락처

특허청
전기전자심사국
특허심사협력과
사무관 조상흠
042-481-814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