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농촌마을의 전설로 만든 어린이책 출간

수원--(뉴스와이어)--농촌진흥청(박현출 청장)은 농촌 마을에 전해 내려오는 전설을 재미있는 전래동화로 만든 어린이책 ‘전설 찾아 두근두근 이야기 마을에 놀러 갈래?’를 출간했다.

이 책은 농촌진흥청이 선정한 10개 마을의 전설은 물론이고, 당산제나 농요 같은 민속과 매실, 호박 같은 지역 특산물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흥미롭게 소개하고 있다.

그동안 농촌진흥청은 ‘농촌구전자원을 활용한 소득화 시범사업’을 통해 농촌의 전설, 민속 풍속, 유적 유물, 자연생태환경 등을 조사했으며, 발굴한 농촌마을의 전설을 어린이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동화책으로 꾸몄다.

어린이들이 책을 읽고 나서 이야기에 나오는 마을을 찾아가 전설에 등장하는 바위며, 나무, 연못을 직접 찾아보기도 하고, 농촌에서 다양한 체험을 즐길 수 있도록 여행 안내서의 구실도 하게 된다.

‘해리포터’를 읽은 영국의 어린이들이 마법학교의 입구를 찾으려고 런던역 기둥과 충돌해 다쳤다는 해외 토픽이 소개될 만큼 이야기의 힘은 크다.

전남 순천의 용오름마을의 전설인 ‘벌 받은 용 총각, 하늘로 올라가던 날’은 옥황상제의 아들인 소별이 지상에서 착한 일을 하며 사랑하는 여자를 만난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승천하다 부정을 타서 벼락을 맞고 떨어져 바위가 되고 만다.

책은 어디에 가면 소별이 바위가 된 용바위를 볼 수 있는지, 가뭄이 들면 용오름마을 사람들은 왜 용바위에 돼지피를 뿌리는지도 들려준다.

‘호박이 넝쿨째 굴러 들어왔네’는 경남 사천의 성방마을에서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호박에 얽힌 못된 며느리 전설로 만든 이야기다.

어린이들은 성방마을에 가서 호박 수확 체험뿐만 아니라 호박 축제에도 참여하고, 1억 년 전의 다슬기 화석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다.

경기도 여주 서화마을의 원님 고개를 소재로 한 ‘까악까악, 원님 오네 원님 오네’를 읽고 어린이들은 원님이 행차했다는 고갯길을 직접 걸어보는 체험도 할 수 있다.

충남 금산 평촌마을의 전설로 만든 ‘신령님이 사는 팽나무와 둥구나무’에서는 마을에 가서 직접 수령이 500년 넘은 팽나무와 둥구나무를 직접 볼 수 있고, 지방무형문화재인 농바우끄시기 공연을 보거나 물페기 농요와 같은 민속 농요를 배울 수도 있다.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과 이금옥 과장은 “‘전설 찾아 두근두근 이야기 마을에 놀러 갈래?’는 이야기를 통해 아이들에게 직접 전설을 체험하는 기회를 줄 뿐만 아니라, 농촌 환경에 대한 이해와 구전 자원의 가치를 어릴 적부터 심어줄 수 있어 더욱 의미 있는 책이며, 앞으로도 사라져 가는 농촌의 구전 이야기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국민에 널리 알릴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 책은 시중의 온라인 서점이나 일반매장에서 12,000원에 판매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과
유혁란 지도사
031-299-2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