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작물별 생육특성에 맞춘 비닐하우스 모델 개발
- 적은 비용으로 최적의 재배환경 갖춘 ‘비닐하우스’
기존 농가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높이가 낮은 하우스(1-2W형 하우스)는 작물의 생육특성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생육이 불안정하거나 재배환경이 그리 좋지 못했다.
* 1-2W형 연동 하우스: 폭 7m, 측고(처마높이) 2.7m, 동고(온실높이) 4.55m
또한 작물 재배환경이 좋은 유리온실은 설치비와 운영비가 비싸 현실적으로 농가에서 도입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우리나라 농가 실정에 적합하면서 작물별 재배환경이 최적화된 과채류 재배 전용 비닐하우스 모델 3작물 6종을 개발하게 됐다.
* 3작물 6종: 파프리카, 토마토, 딸기 고설재배용(4종)
개발된 과채류 재배 전용 비닐하우스는 ㎡당 200천 원 내외의 설치비가 소요되는 유리온실에 비해 설치비용을 1/3 이상 절감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으며, 더불어 구조안전성과 생산성 또한 유리온실에 뒤떨어지지 않는다.
먼저, 초장이 4m 이상 자라는 파프리카 전용 연동 비닐하우스를 개발했다. 기존 하우스는 처마높이가 2.7m로 파프리카를 재배하기에 낮았는데 개발된 하우스는 처마높이가 높아 줄기 내림작업이 없이 파프리카 재배가 가능하고 폭은 수경베드 설치에 적합한 규격이다. 설치비용은 ㎡당 12만 원이며 수량은 기존 하우스에 비해 32 % 증가돼 소득이 10a당 940만 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개발된 파프리카 하우스: 폭 8m, 측고(처마높이) 5.4m, 동고(온실높이) 7.4m
다음으로, 기존의 딸기 토양재배용 하우스는 높이가 낮아 고설재배에 부적합했다. 이에 딸기 고설재배용 단동 비닐하우스 4종을 개발했는데, 이는 고설재배 벤치 높이(1m)와 딸기 초장(40∼50cm) 및 작업의 편리성 등을 고려해 측고를 1.7m로 설정했다. 설치비용은 ㎡당 3만 9천 원∼4만 9천 원이다.
* 개발된 딸기 하우스: 폭 7.6m와 8.9m, 동고(온실높이) 3.7m와 3.9m, 측고(처마높이) 1.7m
마지막으로, 하우스 높이를 높여 수확 시까지 과실이 땅에 닿지 않으며 작업성과 재배환경이 개선돼 장기재배가 가능한 토마토 전용 연동 비닐하우스를 개발했다. 온실 안의 과도한 기온 상승을 막기 위해 유리온실에서 사용하는 천창 등을 설치해 재배환경을 개선시켰다. 설치비용은 ㎡당 11만 4천 원이며 기존 하우스에 비해 수량은 19 % 증가되며 소득은 10a당 119만 원 증가된다.
* 개발된 토마토 하우스: 폭 7m, 측고(처마높이) 4.5m, 동고(온실높이) 6.5m
더불어, 개발된 하우스는 기존 하우스보다 많은 적설과 보다 센 강풍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돼 이상기후에 따른 폭설 및 강풍으로 인한 원예시설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과채류 전용 비닐하우스 모델 개발을 시작으로 앞으로 엽채류, 화훼류 등에 적합한 하우스와 노지재배에서 시설재배로 전환되는 작목들에 맞는 생산성을 높인 전용 비닐하우스도 개발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시설원예시험장 김영철 장장은 “이번 작물별 전용 비닐하우스 개발은 일석삼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첫째, 유리온실에 비해 설치비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둘째, 기존의 비닐하우스에 비해 폭설이나 태풍으로부터 월등히 잘 견디며, 셋째,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하기 좋고, 작물 생육도 좋아져 농가 소득과 수출 경쟁력 제고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시설원예시험장
유인호 연구사
051-602-2144
-
2018년 4월 13일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