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실태조사 결과 반영 정비예정구역 18곳 해제
이번에 해제되는 18개 정비예정구역은 지난해 1월 ‘뉴타운·재개발 수습방안’ 발표 이후 진행된 실태조사 결과에 대한 정보를 주민에게 제공하는 등 주민이해를 돕는 과정을 거쳐 주민 스스로 재개발·재건축 추진여부를 결정한 지역들이 대부분이다.
추진주체가 없는 구역의 경우 토지등소유자의 30% 이상이 해제를 요청한 정비예정구역과 추진주체가 있는 곳으로 토지등소유자 또는 추진주체 구성에 찬성한 자의 과반수 동의로 추진주체가 해산되어 구청장이 주민공람 및 구의회 의견청취 절차를 거쳐 해제를 요청한 지역들이다.
<성북구 정릉동 716-8번지 일대 등 18곳 해제>
정비예정구역 해제 대상지 18곳을 사업별로 구분하면, 재개발 1곳, 재건축 17건으로서 이중 1곳은 구역지정이 완료된 구역이다.
대상지별로는 ▴강북구 2곳(수유동 508-92, 번2동 441-3) ▴양천구 1곳(신월2동 479-18) ▴마포구 1곳(서교동 474-3) ▴성북구 3곳(정릉동 717-14, 정릉동 716-8, 삼선동1가 11-53) ▴동대문구 2곳(장안동 317-4, 제기동 1158-20) ▴관악구 1곳(신림동 110-19) ▴서대문구 2곳(홍제동 266, 홍은동 400-6) ▴도봉구 3곳(창동 521-16, 방학동 610-2, 방학동 396-50) ▴노원구 2곳(월계동 475-2, 월계동 496-8) ▴금천구 1곳(시흥동 794-7)이다.
이 중 삼선6주택재개발구역은 2010.7.1에 구역지정이 되었음에도 사업성 등의 문제로 토지등소유자 147명 중 51%인 75명이 추진위원회 해산에 동의함에 따라 정비구역을 해제하게 되었다.
도시계획위원회 심의결과 정비예정구역 및 정비구역이 해제됨에 따라 용도지역, 정비기반시설 등은 정비구역 지정 이전의 상태로 환원된다.
이번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통과에 따라 1월 중으로 정비(예정)구역 해제 고시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진희선 서울시 주거재생정책관은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비예정구역을 해제하게 되어 주민의 자유로운 재산권 행사가 가능하고, 앞으로 해제지역에 대하여 주민이 희망할 경우, 마을만들기사업을 포함한 주거환경관리사업 등 대안적 정비사업으로 전환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주택정책실
주거재생과
박종문
02-2133-7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