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난해 지하철 유실물 ‘5·7월’ 가장 많았다

서울--(뉴스와이어)--’87년 서울 지하철 유실물센터가 생긴 이래, 부동의 1위를 지켜오다 ’10년과 ’11년, 2년 간 ‘전자제품’에게 자리를 내준 ‘가방’이 지난해에는 1위 자리를 되찾았다.

서울시가 ‘2012년 지하철 1~9호선 유실물 통계’ 결과를 18일(금) 발표했다. 지난해 서울 지하철 유실물 접수 건수는 총 101,140건으로 전년 대비 13.1%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하철 유실물, 지난해 처음 10만건 넘어서…가방>전자제품>의류 순>

서울 지하철(1~9호선) 유실물은 9호선이 개통한 ’09년 총 73,857건이 접수된 이후 지난 4년 간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으며, 지난해에 처음으로 10만 건을 넘어섰다.

’12년 가장 많이 접수된 유실물 품목은 22,965건을 기록한 ‘가방’이었으며, 640건(0.6%) 차이로 전자제품(22,325건)이 그 뒤를 이었다.

품목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가방(22.7%)>전자제품(22.1%)>의류(7.8%)>서류(3.7%) 순으로 많이 접수됐다.

지난해 접수된 유실물 중 ’11년 대비 증가폭이 가장 컸던 품목은 의류(15.6% 증가)였고 반대로 귀금속은 48.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09년과 비교해 의류는 51.9%나 증가했고, 휴대전화·노트북·mp3플레이어 등 전자제품도 38.1% 늘어났다.

<유실물 5~11월까지 평균 웃돌아… 5·7월 특히 많고, 2월에 가장 적어>

시민들은 겨울보다 여름·가을에 물건을 많이 두고 내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유실물이 많이 접수된 시기는 ‘5월, 7월, 10월’로 각각 9천4백건 넘게 접수됐다. 반대로 가장 적었던 시기는 ‘2월’이었다. 특히 2월~5월까지 3개월 간 유실물이 월평균 1천 건 이상 씩 급격히 증가해 이 시기에 물건을 두고 내리지 않도록 주의가 요구된다.

서울시는 이러한 결과에 대해 겨울에서 봄·여름으로 계절이 바뀌면서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외출이 잦아진데다 외투 등을 벗어서 들고 다니다가 좌석 위 선반에 두고 내리는 시민이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했다.

<주인 찾아간 유실물 78.1%, 전자제품·가방 인계율 높은 반면 의류는 절반만 찾아가>

지난해 주인을 찾아간 유실물의 비율은 전자제품이 93.6%, 가방이 83.4%로 높았던 반면 ’11년 대비 유실물 증가폭이 컸던 의류는 54.2%에 그쳐 절반 정도만 주인을 찾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유실물센터, 시청·왕십리 등 5곳에서 운영… 하차시각·위치 기억하면 도움>

지하철 이용 중에 물건을 두고 내렸다면 침착하게 내린 역과 시각, 탑승한 열차 칸 위치 등을 기억해 가까운 역무실이나 ☎120다산콜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서울 지하철 1~9호선 유실물센터는 총 5개소로, ▴시청역(1·2호선) ▴충무로역(3·4호선) ▴왕십리역(5·8호선) ▴태릉입구역(6·7호선) ▴동작역(9호선)에 위치하고 있다.

지하철 1~8호선 유실물센터는 07~22시까지, 9호선은 06~24시(주말·공휴일 07~23시)까지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분야별정보 ‘교통’→분실물센터 이용에 접속하면 사진을 비롯한 상세한 습득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서울시는 주인을 찾지 못한 물건 중 현금과 귀중품 등은 1년 6개월이 지나면 국가에 귀속시키고, 기타 물품들은 경찰의 승인 하에 사회복지단체 등에 무상으로 양여하고 있다.

지난해 서울 지하철 1~9호선 유실물 중에 옷, 신발, 우산, 가방 등 13,300건이 사회복지단체에 무상 양여됐다.

서울시 백 호 교통정책관은 “시민들이 열차에 물건을 두고 내리지 않도록 수시로 안내 방송을 하고 있으며, 좌석 위 선반을 물건이 잘 보이는 그물망 재질로 교체하고 있다”며 “앞으로 열차 내 선반 개수를 줄이는 등 물건 유실을 막기 위한 다양한 시민 아이디어를 청취·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
교통정책과
김용주
02-3707-9726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