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원 콘텐츠 유통에 표준식별코드(UCI) 적용
- 2012년까지 공표된 음원에 대해 UCI 650만 건 일괄 발급
- 2013년부터는 음원 제작자가 직접 UCI 등록 후 음원 유통
- 음원 유통 정보의 투명성과 공정성 제고 기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광식)는 2013년부터 온라인에서 음원을 유통하는 서비스 사업자들이 표준화된 음원식별코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모든 음원에 UCI를 발급하기로 하고, 우선적으로 국내 5대 온라인음악서비스 사업자가 2012년까지 보유하고 있는 국내외 음원 650만 건 전체에 대한 UCI 발급을 완료하였다고 18일 밝혔다.
* 5대 서비스 사업자 : 로엔엔터테인먼트(멜론), CJ E&M(엠넷), 네오위즈인터넷(벅스), KT뮤직(올레뮤직), 소리바다
이번 UCI 발급은 지난 2012년 10월 31일 문화체육관광부가 음악 권리자단체와 온라인음악서비스사업자 및 한국저작권위원회, (사)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와 함께 체결한 ‘음원사용 로그정보(사용내역) 수집 및 활용 등에 관한 협약’ 후속조치의 첫 단계로 진행된 것으로서, UCI 체계 관리는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총괄하며, 음원에 대한 실질적인 UCI 발급은 (사)한국음원제작자협회(이하, 음제협)가 담당하였다.
* 참여 권리자 단체 : 한국음악저작권협회,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 한국음원제작자협회
참여 온라인음악서비스 사업자 : 상기 5대 서비스 사업자
효율적인 UCI 발급을 위해 2012년까지 유통된 음원에 대해서는 음제협이 온라인음악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음원의 메타데이터베이스를 제공받아 일괄적으로 UCI를 발급하였으나, 2013년 1월부터는 음반제작자가 음원을 발매하여 유통하기 전에 음원 UCI 홈페이지(http://uci.k-pop.or.kr)를 통해 직접 음원 정보를 등록 후, UCI를 발급받을 수 있다. 다만 UCI가 부착되지 않은 음원에 대해서는 음악서비스 사업자가 UCI를 등록할 수도 있도록 보완하였다.
2013년 들어 음악서비스 사업자들의 새로운 음원 상품이 출시되고 음원에 대한 UCI 발급 및 향후 발급 체계가 정비됨에 따라 현재 테스트 중인 통합로그정보시스템이 2월부터는 안정적으로 가동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앞으로 저작권 사용료 징수·분배의 투명성 및 공정성 제고, 이용허락과 관련한 거래비용의 절감 등 온라인 음원 유통의 선진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음원 통합로그정보시스템은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총괄하여 올해 1월 1일부터 시험 가동 중에 있으며, 2월부터는 본격적으로 매일, 음원 유통 정보를 음악서비스 사업자들로부터 수집하고, 집계된 통계를 음악 권리자단체 및 음악차트(가온)에 제공하여 사용료 정산 및 실시간 순위제공 등에 활용할 계획
문화체육관광부 개요
문화, 예술, 체육, 관광, 종교, 미디어, 국정홍보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 부처이다. 2008년 문화관광부와 국정홍보처, 정보통신부의 디지털콘텐츠 기능을 통합해 문화체육관광부로 개편했다. 1차관이 기획조정실, 종무실, 문화콘텐츠산업실, 문화정책국, 예술국, 관광국,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을 관할하며, 2차관이 국민소통실, 체육국, 미디어정책국, 아시아문화중심추진단을 맡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문화재청, 대한민국예술원, 한국예술종합학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국어원, 국립중앙도서관, 국립극장, 국립현대미술관, 국립국악원, 국립민속박술관, 한국영상자료원, 해외문화홍보원, 한국정책방송(KTV) 등을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cst.go.kr
연락처
문화체육관광부
저작권산업과
사무관 김지희, 주무관 허재호
02-3704-9485, 02-3704-9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