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용항공사 시장 점유율 18.8% , 상승세 지속
- 국내선은 상승폭 둔화, 국제선은 꾸준히 성장
또한, 국적 저비용항공사들의 국내 및 국제노선 전체 시장점유율도 16.5%(2011년)에서 18.8% (2012년)로 높아졌다고 밝혔다.
국내 시장에서는 국내선 22개 노선 중 저비용항공사가 운항 중인 5개 노선에서 전년(869만 명) 대비 9% 증가한 947만 명을 수송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저비용항공사는 43.8%의 국내시장을 점유하여 전년(41.4%) 대비 상승세를 지속했으나, 상승폭은 저비용항공사들의 국제선 집중 경향 등에 따라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선 LCC 시장점유율: ‘09년 27.4➝’10년 34.7➝‘11년 41.4➝’12년 43.8%
노선별로는, 군산-제주 노선(52.5→51.9%)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김포-제주(56%), 김해-제주(66%), 군산-제주(51.9%) 등 3개 노선은 ‘11년에 이어 '12년에도 LCC들이 50% 이상의 시장을 점유했다.
국제노선의 경우 저비용항공사의 취항노선 증가(‘11년 25개→’12년 27개) 및 해외여행 수요 증가로 인해 전년(183만명) 대비 95.6% 증가한 총 359만 명을 수송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국제선 전체로는 전년(4,265만명) 대비 11.9% 증가한 총 4,770만명을 수송하였으며 이 중 국적사는 전년(2,814만명) 대비 13% 증가한 3,180만명 수송
국적 저비용항공사의 시장점유율은 ‘11년 4.3%에서 ’12년 7.5%로 증가하였으며, 저비용항공사가 10만 명 이상 수송한 노선들 가운데 김포-오사카(14.5→14.4%), 김해-오사카(30.5%→28.5%)를 제외한 모든 노선의 점유율이 증가했다.
저비용항공사가 높은 점유율을 보인 노선은 김포-나고야(99.8%), 김해-타이페이(66.9%), 제주-푸동(57.4%), 김해-세부(46.5%) 노선 순으로 나타났으며, 인천-후쿠오카(0.5→22.2%), 제주-푸동(39→57.4%), 김해-방콕(14.2→30.9%) 노선들은 가장 높은 점유율 상승세를 보였다.
국토해양부는 2013년에는 외국계 저비용항공사의 취항 확대로 인한 경쟁 심화 및 동북아 영토 분쟁으로 인한 항공수요 불안정 등 국적 저비용항공사 성장에 부정적 요인도 존재하나, 해외여행 수요의 지속적 증가와 국적 저비용항공사들의 항공기 추가도입 및 국제노선 확대에 따라 ‘13년에도 국제선 시장 확대를 바탕으로 한 저비용항공사 성장세는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 에어아시아재팬 인천-나리타, 김해-나리타 신설노선 운항 및 중국, 대만, 필리핀 등으로 노선 확대 예정
** '13년 국적 저비용항공사 항공기 추가도입 계획: 제주항공 2, 진에어 2, 에어부산 3, 이스타항공 3대
웹사이트: http://www.molit.go.kr
연락처
국토해양부
항공산업과
김진희
041-201-4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