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16년까지 지하철 엘리베이터 등 446대 추가 설치
서울시(도시교통본부)는 ‘지하철 1~8호선 이동편의시설 확충 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중으로 설치가 완료되는 엘리베이터 26대, 에스컬레이터 46대를 포함해 ’16년까지 총 118개 역 137대, 131개역 309대를 추가로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16년 말에는 지하철 1~9호선 292개 역에서 엘리베이터 935대, 에스컬레이터 2,088대가 운영된다. 서울 시내 지하철 1개 역 당 평균적으로 엘리베이터가 3대, 에스컬레이터가 7대 씩 운영되는 셈이다.
’13년 1월 현재 지하철 1~9호선에는 엘리베이터 281개역 798대, 에스컬레이터 238개 역 1,779대가 설치되어 있다.
서울시는 ’98년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 지하철역에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기 시작했으며 ’06년 ‘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법’이 시행되면서 이동편의시설을 대폭 확충해 왔다.
현재 공사 중으로 올해 안에 준공되는 엘리베이터는 ▴안국(3호선) ▴봉화산(6호선) ▴신풍(7호선)을 포함한 26개 역 26대며, 에스컬레이터는 ▴종로3가(1호선) ▴문래(2호선) ▴우장산(5호선) ▴광흥창(6호선) 등 19개 역 46대다.
올해부터 설치에 들어갈 엘리베이터는 16개역 16대, 에스컬레이터는 19개역 44대로, 서울시는 평소 노인이나 장애인 이용이 많은 지하철역을 우선적으로 선정했다. 또 역이 깊어 교통약자가 접근하기 어렵거나 기존에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도 고려했다.
예를 들어 뚝섬역의 경우에는 인근에 성동구 노인건강·치매지원센터가 위치해 있으며, 종합운동장역에는 노인상담센터, 교대역에는 장애인복지시설, 청구역 인근에는 노인복지센터 등이 위치해 있다.
한편 서울시는 현재로써는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 설치가 어려운 용답역(2호선), 방화역(5호선), 남구로역(7호선) 등 5개 역에 대해서는 역사 구조개선 및 주변지역 개발과 연계하여 이동편의시설을 장기적으로 설치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시 도시교통본부 천정욱 교통정책과장은 “’16년까지 설치가 가능한 모든 지하철역에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를 조성할 계획이며, 특히 장애인·노인 등 교통약자가 많이 이용하는 시설이 위치한 지하철역에 우선적으로 설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
교통정책과
최연우
02-3707-9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