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화재사망자 10명중 7명 ‘주택, 아파트’에서 발생
2012년 전국 화재발생건수는, 전년대비 1.4% 감소한 43,247건이 발생하였으며, 인명피해는 2,222명으로 (사망 257명, 부상 1,965명) 19.3% 증가하였고, 재산피해는 289,082백만원으로 12.7% 증가하였으며, 일일평균 118건의 화재가 발생하여, 6.1명의 인명피해와 790백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시간대별 화재발생현황을 분석하여 보면, 11시~17시 사이 화재발생이 15,317건으로 전체화재의 35.4%를 차지하였고, 화재로 인한 사망자는 0시~5시 취약시간대에 32.3%(83명)가 발생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012년 장소별 화재발생현황을 분석해보면, 비주거시설에서 36.9%(15,966건)의 화재가 발생하여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데, 비주거시설 중 공장시설 16.3%(2,604건), 음식점 16.2%(2,579건), 일상서비스 7.9%(1,264건), 창고시설 7.5%(1,191건) 순으로 발생률이 높았으며, 특히 공장시설과 음식점 화재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발생 원인을 분석해보면, 전체 화재 중 46.8%(20,248)가 부주의로 인하여 발생하고 있으며, 전기적요인 24.2%(10,483), 기계적요인 9.9%(4,261), 원인미상 9.8%(4,258)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부주의로 인한 화재유형을 살펴보면, 담배꽁초 방치가 33.6% (6,800건)로 가장 많았으며, 음식물 조리중 13.8%(2,791건), 불씨·불꽃 화원방치 13.2%(2,677건), 쓰레기 소각 11.6%(2,340건) 순으로 나타나, 담배꽁초 방치로 인한 화재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연자의 부주의에 의한 안전의식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인명피해는 부주의로 인하여 33.8%(752명)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화재사망 사고는, 주택·아파트 등 주거용 건물에서 69.3%(178명)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방재청은 화재발생 및 화재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전체화재의 약 24.7%를 차지하는 주택화재의 예방을 위하여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APT 및 기숙사제외)에 소화기구 및 단독경보형감지기 설치, 주택화재예방 캠페인 등 주택화재예방을 위한 홍보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특히, 주택화재의 원인 중 부주의(52%)와 전기적요인(23.2%)이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어 주택 내 화기취급시 안전수칙 준수와 외출 시 전기·가스시설의 안전을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소방방재청 개요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설립된 국가 재난관리 전담기구이다. 전신은 행정자치부 민방위재난통제본부이다. 조직은 청장, 차장과 재난종합상황실,예방안전국, 소방정책국, 방재관리국, 119구조구급국,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하기관으로 중앙119구조대, 중앙민방위방재교육원, 중앙소방학교가 있다.
웹사이트: http://www.nema.go.kr
연락처
소방방재청
소방정책국 화재조사팀
02-2100-5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