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한국가축사양표준 활용으로 선진축산·수출축산 초석 다져
한우 거세우는 24개월령 체중이 545kg에서 656kg으로 20 % 향상됐고, 젖소의 305일 기준 산유량은 8,086kg에서 9,563kg으로 18 %, 육계의 6주째 체중은 2.3kg에서 2.6kg으로 13 %, 산란계의 산란율은 82 %에서 89 %로 9 % 향상됐다.
※ 국내 젖소 305일 평균 유량 : 4,681(’85)→5,363(’90)
※ 국내 산란계 산란율 : 64.5%(‘70)→73.9%(‘80)→77.3(’90)
※ 일본 젖소 305일 평균 유량 변화 : 8,794kg(’00)→9,286kg(’10), 5% 향상
한우는 고급육 생산기술 발달로 1등급 이상 출현율이 평균 25 %에서 63 %로 2.5배 증가했고, 국립축산과학원이 개발한 ‘한우 사양표준 사료배합프로그램’의 보급으로 자기 농장의 한우에게 급여할 최적의 섬유질배합사료를 직접 생산하는 농가가 증가하고 있다.
돼지 모돈 두당 연간 이유 두수(PSY)는 20.6두(2000년)에서 21.5두(2010년)로 증가했고, 육계는 부분육 및 해외 수출 규격에 적합한 대형육계 생산을 위한 영양·사양관리 기술체계를 구축했다.
지난 10년간 가축 생산성이 이렇게 향상된 것은 체계적인 가축개량과 과학적 사양관리에 따른 것으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다변화하고 있는 축산물의 맛과 품질에 대한 소비자 요구를 충족시키고 시대별 가축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 요구량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들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가축 사료급여 관리 기술의 선진화 척도는 가축이 하루에 필요로 하는 각 영양소의 양을 제시하는 국가 사양표준의 보유 유무와 그 정확도로 평가하고 있는데 미국 등 선진축산국은 40∼60년대부터 사양표준을 제정해 이용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2002년 한우, 젖소, 돼지, 가금 사양표준을 제정했으며, 2007년과 2012년 2차 개정을 통해 가축의 영양소요구량 정확도를 높였다.
축산농가에서 가축사양표준의 영양소 요구량에 기초해 사료급여량을 결정하면 과거처럼 생산 안전성을 염려하여 10 %를 추가 급여했던 사료량을 줄일 수 있어 연간 약 8,500억 원의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 사료 10 % 절약시 사료비 절감 추정액(국내 사료 생산량 기준 산출): 한육우 2,430억, 젖소 660억, 돼지 3,320억, 산란계 890억, 육계 1,180억
또한 환경규제 관련 국제기구가 분뇨 및 메탄과 같은 배출량 산출을 위해 요구하는 가축의 영양소 섭취량 국가 통계 자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장원경 원장은 “지난 10년간 농업 중 축산업 비중이 24 %에서 40 %로 상승한 것은 체계적인 가축 개량노력과 과학적인 가축의 영양관리 기술 개발이 크게 기여한 결과”라며, “앞으로 꾸준한 연구를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축산물 생산과 친환경 축산 경영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영양생리팀
김경훈 연구사
031-290-1698
-
2018년 4월 13일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