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떡국의 유래· 영양· 조리법 제안

수원--(뉴스와이어)--민족 대명절 설날이 며칠 앞으로 다가왔다. 설날하면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 바로 떡국이다.

새해 첫날 아침에 먹는 떡국은 무병장수와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있다. 또한 겨우내 허약해진 기력을 보충할 수 있는 영양가 만점의 음식이기도 하다. 떡국하면 으레 만드는 법이 비슷할 것 같지만 지역에 따라, 재료에 따라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민족 대명절 설날을 맞아 떡국 속에 담겨 있는 의미와 영양, 그리고 다양한 특징이 있는 떡국 조리법에 대해 소개한다.

떡국은 예전에는 ‘떡을 넣고 끓여낸 탕’으로 ‘병탕(餠湯)’ 또는 ‘병갱(餠羹)’으로 불렀다. 또한 ‘떡국 한 그릇을 먹어야 한 살 더 먹는다’고 해 첨세병(添歲餠)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정확히 언제부터 떡국을 먹었는지에 대한 기록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조선시대의 세시풍속에 관해 기록된 문헌인 ‘동국세시기(1849)’와 ‘열양세시기(1819)’에 의하면 제례음식에 없으면 안 될 음식으로 설 아침에 먹었으며, 손님 접대용 음식으로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일제강점기의 문헌인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1937∼1946)’에서는 설에 먹는 풍속으로 상고시대에 새해 제사 때 먹던 음식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말한다. 떡국에 들어가는 가래떡은 그 형태를 길고 가늘게 만든 데에는 무병장수와 풍년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 있다.

또한 떡국은 보통 쇠고기육수나 멸치육수에 가래떡과 파를 넣고 끓여서 달걀지단과 고기꾸미를 얹어서 먹는 떡국은 1인분에 열량이 약 475kcal 정도다. 재료에 따라 칼로리는 달라지지만 탄수화물, 단백질, 칼슘, 철분, 비타민A·C·E, 조섬유 등이 들어가 있는 영양가 높은 음식이다.

떡국에 들어있는 영양소를 보면 주재료인 떡은 쌀로 만들어 탄수화물이 많이 함유돼 있다. 게다가 같이 들어가는 부재료인 파는 국물 재료인 멸치나 쇠고기의 냄새를 없애는 역할을 하며, 비타민이나 칼슘, 철분 등이 포함돼 탄수화물 중심의 떡국에 미량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에 올라가는 고명인 양념에 무친 고기와 달걀지단은 맛뿐만 아니라 단백질을 보충해 주는 역할을 한다. 떡국을 먹을 때는 나물이나 심심한 김치를 함께 곁들이면 섬유소나 비타민을 보충할 수 있다.

이렇게 영양가 만점의 음식이지만 비교적 칼로리와 나트륨 함량이 높은 음식이다. 따라서 지나치게 많이 먹게 되면 칼로리와 나트륨을 과다 섭취하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요즘에는 ‘굳지 않는 떡’ 제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편이성을 향상시킨 물만 부어 먹을 수 있는 즉석 떡국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떡국은 지역별로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개성 지역의 조랭이떡국, 충청도 지역의 구기자떡국·다슬기떡국·미역생떡국, 전라도 지역의 두부떡국·꿩떡국·굴떡국, 경상도 지역의 태양떡국·굴떡국·메밀떡국 등이 유명하다.

또한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맛도 제각각이다. 멥쌀 찹쌀 메밀 등 어떤 쌀로 떡을 만드느냐에 따라, 쇠고기 닭고기 꿩고기 굴 미역 등 어떤 것으로 국물을 우려내느냐에 따라, 고명으로 무엇을 올려놓느냐에 따라 각양각색의 맛이 나온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가공이용과
이진영 연구사
031-299-048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