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해빙기 안전관리에 총력
- 지난해 인명피해 제로, 올해도 안전관리대책 적극 추진
- 안전관리 전담T/F팀 운영, 사전 예찰 강화, 안전교육 실시 등
또 기온이 0도 이상으로 높아지면 얼었던 공극수(空隙水)가 녹으면서 지반을 현저히 약화시켜 지반침하 현상이 일어나 건축물이나 석축·옹벽 등의 구조물에 영향을 주어 균열 및 붕괴 등의 안전사고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낮과 밤의 기온차가 심한 2월에서 4월 초순경까지는 ‘해빙기’로써 이런 위험이 도처에 도사리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올해는 이례적으로 기온의 주·야간 기온차가 심한 삼한사온형의 사이클을 형성하여 어느 때보다 해빙기 안전사고가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울산시는 해방기 대책기간을 설정하여 지난해 해빙기 대책추진 결과를 분석하고 해빙기 지반 침하, 절개지 붕괴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은 재난취약시설에 대해 불안전 요인을 사전에 제거하는 등 해빙기 안전관리 강화대책을 수립, 이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울산시에 따르면, 최근 6년 간(2007~2012) 해빙기간 중 전국에서 총 66건의 사고로 39명의 사상자(사망 15명, 부상 24명)가 발생하였으나, 지난해 울산시는 해빙기 대책기간(2012. 1. 20 ~ 3. 31) 중 생활주변 축대·옹벽 등 재난취약시설에 대한 이상 징후 사전 점검과 중점관리대상시설 등에 대한 철저한 대책추진으로, 단 한명의 인명피해도 없었다.
다만, 해빙기 안전관리대상시설 선정에 있어 일부 시설물이 제외되어 이에 따른 선정기준 마련과 관계자 교육에 사전 준비 부족 등 안전교육효과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나 실질적인 안전교육을 위한 표준교육자료 마련 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울산시는 해빙기 안전관리 강화대책으로 △재난취약시설 전수 안전점검 실시 △해빙기 안전관리 전담 T/F팀 구성·운영과 일일순찰 및 이상 징후 발견 즉시 조치 △주요 건설공사장 현장대리인 및 공사감독 등을 대상으로 해빙기 건설공사장 안전교육 등을 중점 추진한다.
효율적인 해빙기 재난취약시설 안전관리를 위해 지난해 해빙기 안전관리 추진 과정상 문제점을 분석·보완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해빙기 안전관리 강화대책을 구·군에 시달하여 관내 재난취약시설에 대한 철저한 점검을 당부할 계획이다.
또, 혹한으로 동결과 융해 반복, 사고 위험 요인 사전제거를 위해 오는 3월 말까지 해빙기 대책기간을 운영하고, ‘해빙기 재난취약시설 분야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점검 대상은 대형 토목·건축 공사장 및 교량, 석축(축대)·옹벽, 절개지 등으로 혹한으로 동결 되었던 지표면이 해빙되면서 지반 약화로 가설물 및 주변 건물 등의 붕괴 위험 여부, 동절기에 중단되었던 공사를 재개하는 경우 가설물 뒤틀림 발생 등을 중점 점검한다.
건설공사장 성토구간 토사 슬라이딩 등 붕괴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시설 설치, 공사 관계자 안전규칙 준수 등 현장관리에 만전을 위해 주요 건설공사현장 공사감독자를 대상으로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이와 함께 통·리장, 지역자율방재단 등을 활용한 마을별 담당자를 지정하여 상시 Hot-Line을 유지하고 취약시설 예찰, 이상 징후 발견 시 즉시 신고 등 재난안전네트워크를 유지해 나갈 계획이다.
이밖에 해빙기 사고예방 및 경각심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안전점검의 날’ 행사와 전광판, 대중교통, 소식지 등 다양한 홍보매체를 활용한 대국민 홍보활동도 적극 전개한다.
울산시 관계자는 “올해는 이례적으로 혹한이 계속되어 동결강도가 높아 해빙기인 2 ~ 3월은 지반 침하, 절개지 붕괴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다”며 “해빙기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시설에 대해 불안전 요인을 사전에 도출하여 안전대책을 적극 강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울산광역시청 개요
울산광역시청은 12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부터 김기현 시장이 시정을 이끌고 있다. 품격있고 따뜻한 창조도시 울산을 목표로 삼고 안전제일 으뜸 울산, 동북아 경제허브 창조도시 울산, 최적의 도시인프라 매력있는 울산, 품격있는 문화도시 울산, 이웃사랑 복지 울산, 건강친화적 환경도시 울산, 서민 노동자와 기업이 함께하는 동반자 울산으로 만들어 나가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ulsan.go.kr
연락처
울산시
민방위재난관리과
안수진
052-229-4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