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역병에 강한 감자품종 추천
- ‘조풍’, ‘홍영’, ‘자영’, ‘조원’, ‘하령’ 감자, 역병에 강해
감자 역병은 잎, 줄기, 괴경 등 모든 부위에 침입하는 병으로, 병 발생 2주일 후 지상부의 발병도가 100 %에 달하고, 피해가 극심한 경우 아예 수확이 불가능한 치명적인 병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수미’ 품종은 역병에 매우 약해 해마다 피해가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역병은 일단 발생하면 방제가 어렵기 때문에 병에 강한 품종을 재배해 최초 발생 시기를 늦추고 병의 진행이 늦어지게 하면 방제가 훨씬 수월해진다.
감자 역병이 가장 심한 대관령에서 2년 동안 14개 품종을 대상으로 병 저항성 정도를 실험한 결과 조풍, 홍영, 자영, 조원, 하령 품종이 병에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미에 비해 발병률이 80 %∼64 % 정도로 낮았다.
또한 ‘하령’ 품종을 재배할 경우에는 수미보다 2주일 늦게, 7일 간격 9회 뿌리던 것을 10일 간격 5회로 4번 정도 적게 약제를 뿌려도 충분한 방제효과가 있으며 수량에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센터 김점순 연구사는 “감자역병에 강한 품종을 재배하면 봄감자 재배지에서는 농약을 뿌리지 않고 재배가 가능하며, 고랭지에서는 약제 살포횟수를 줄여도 안정적인 수량을 얻을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제법이다.”라고 강조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센터
김점순 연구사
033-330-1980
-
2018년 4월 13일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