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nt 상승, WTI 하락
(단위 : US$/B)
시 장 유 종 전일종가 금일종가 등락폭
NYMEX WTI(3월물) 95.83 95.72 -0.11
ICE BRENT(3월물) 117.24 118.90 +1.66
현물 Dubai 112.36 112.64 +0.28
* 최근 월물 기준
중국의 경기회복에 따른 원유 수입증가는 유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 중국의 1월 수출이 전년동월대비 25% 증가하면서 무역수지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무역수지 개선 등에 따른 경기회복의 영향으로 중국의 1월 원유수입이 전년동월대비 7.4% 증가한 592만 b/d를 기록(최근 8개월 내 최고 수준)
또한, 중동지역 정정불안 지속도 유가 상승에 일조. 예멘 내 송유관(11만 b/d 규모) 폭발 테러로 송유관 가동이 중단 ※ 동 송유관은 예멘 마리브 지역의 원유를 홍해 수출항으로 수송
반면, 미 달러화 강세, 미 중서부지역 일부 정유공장 유지보수 예정 소식 등은 WTI 가격 하락 및 Brent 가격 상승폭 제한에 영향을 미침. 8일 유로화 대비 미 달러화 환율은 유럽중앙은행 총리의 유로화 강세 우려 발언 영향 지속으로 전일대비 0.25% 하락(가치상승)한 1.336달러/유로를 기록. Phillips 66사가 미국 일리노이주 Wood River 소재 정제시설(약 29만 b/d 규모)의 유지보수 계획(2월 24일 이후 약 36일 간)을 발표
웹사이트: http://www.petronet.co.kr
연락처
한국석유공사
해외석유동향팀
031-380-2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