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공기관·시민·기업과 함께하는 절전문화 정착나서
이번 점심시간 변경은 지자체로서는 서울시가 최초로 시행하였으며, 자치구까지 약 4만 명이 점심시간을 오전 11시부터 12시까지로 당김으로 약 18,400kW(형광등 약 60만개)의 피크완화에 기여하였다.
전력피크 시간대 18,400kW(서울지역 피크 증가 기여율의 5.3%)의 절약효과는 1시간 동안 형광등 60만개를 동시에 사용하는 전력과 같은 양이다.
겨울 최악의 한파로 전력수요가 사상 최대치를 경신한 가운데 최대전력 수요 경신은 올 겨울 들어서만 세 번째로서 전력예비력이 400만kW 이하인 비상단계로 떨어져 위기 상항이 고조되고 있었으나, 1월 9일 이후 서울시의 점심시간 변경에 포항시, 대전시 유성구 등 일부 지자체의 참여가 이어졌다.
최근 4년간(‘09~’12) 동절기 전력피크는 1월 2주~2월 1주중 발생해, 이 기간 동안 일일 최대 피크시간인 09시~12시까지의 집중적인 절전 활동이 필요하다.
기업과 시민들의 자발적인 에너지 절약 동참이 늘어나고, 정비 중이던 영광원전 5호, 6호기의 정상 가동으로 전력피크 위기상황이 완화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연휴가 끝난 첫 근무일인 2월 12일부터는 점심시간이 당초와 같은 12시부터로 복귀하였다.
이 외에도 서울시는 청사의 자체 전력을 줄여나가는 것은 물론 에너지 다소비 건물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에너지 절감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점심시간 등 일정 시간 컴퓨터 작업을 하지 않을 때 직원들의 컴퓨터를 자동으로 절전 모드로 바꿔주는 프로그램을 활성화해 1월 14일~2월 8일까지 일반가정 59가구가 한 달동안 사용하는 전기량에 해당하는 17,591kWh을 절감했다.
‘그린터치’는 점심시간 뿐만 아니라 일정시간(10분 ~20분) 컴퓨터 작업을 하지 않을 때 직원들의 컴퓨터를 자동으로 절전모드로 바꿔주는 프로그램으로 전력절감 효과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시는 겨울철 전기 다소비 건물의 에너지 절감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대규모 점포, 호텔, 대학교 등 3개 부문 210개소를 대상으로 2월까지 이전 2년의 동기간 대비 평균 전기 사용량이 10% 이상 절감한 건물을 대상으로 절감사례 등을 평가하여 최대 3천만원, 총 1억 8천만원에 달하는 포상금을 지급할 계획으로, 동절기 3개월간(2012년12월~2013년 2월) 시행한다.
전력수요 피크시간대인 10~12시, 17~19시의 절감 실적에 대해서는 특별이 가중치를 부여하여 전기 다소비 시간대의 절전을 유도하고 있다.
이에 함께 시는 적정 실내온도 준수, 난방을 하면서 문을 열고 영업행위 근절 등 절약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민간부문의 경우, 에너지다소비건물 실내 난방온도를 20℃ 이하로 제한준수 여부와 난방을 하면서 문을 열고 영업하는 사업장 55,100개소를 점검하여 1차 적발 업소 250개소에 경고장을 발부하는 등 집중단속을 펼치고 있다.
임옥기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이번 점심시간 변경은 전력 수요 절감을 위해 공공기관의 참여를 계기로 기업 및 시민 등 민간에서도 자율적인 동참으로 전력위기를 함께 극복하는 모범사례가 되었다.”며, “앞으로도 에너지 과다 사용을 자제하는 등 서울 시민의 절전 의식이 더욱 높아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기후환경본부
녹색에너지과
민화영
02-2113-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