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월중 금융시장 동향
국고채(3년)금리는 1.10일 사상최저치(2.70%)까지 하락하였다가 월 후반 원/달러환율 상승 등에 따른 기준금리 인하기대 약화, 美국채(10년)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소폭 반등*
(12.12월말 2.82% → 13.1월말 2.76% → 2.12일 2.71%)
* 2월 들어서는 기준금리 인하기대가 재부각되면서 하락
- 회사채금리는 신용경계감 지속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채권 선호 등으로 큰 폭 하락
- 외국인의 국내채권 보유규모는 1월중 재정거래 유인 축소 등으로 단기성 투자가 줄어들면서 소폭 감소
- 외국인 국내채권 보유 증감(조원): 12.12월 +2.1 → 13.1월 -0.9 → 2.1~8일 +0.2
통안증권(91일) 및 은행채(3개월) 금리는 기준금리 인하기대로 상당폭 하락하였다가 소폭 반등
- CD(91일)금리는 은행채금리와의 스프레드 확대에 따른 저가 매수세로, CP(91일)금리는 MMF 자금유입에 따른 수요증가로 꾸준히 하락
2. 주 가
종합주가지수는 엔화 약세 등에 따른 국내 수출기업 실적악화 우려, 외국인 순매도 등으로 상당폭 하락
- 외국인은 13.1월중 국내 수출기업의 실적악화 전망, 연말 배당 목적으로 유입된 단기투자자금 유출 등으로 순매도로 전환
3. 자금흐름
13.1월중 은행 수신은 계절요인에 주로 기인하여 감소로 전환
(12.12월 +6.5조원 → 13.1월 -2.4조원)
- 수시입출식예금이 부가세납부 수요 등에 따른 기업의 자금 인출로 큰 폭 감소 (+20.3*조원 → -7.6조원)
*연말자금(재정집행자금·상여금 등) 유입 및 가계의 주식투자자금·대출금 유입 등으로 큰 폭 증가
- 정기예금은 연말 자금수요(재정집행, 부채비율 관리 등)로 감소하였던 지자체 및 기업 자금이 재유입되면서 증가로 전환 (-10.6조원 → +1.9조원)
- 은행채는 바젤Ⅲ 도입 연기에 따른 후순위채 발행 축소로 전월에 이어 감소 (-1.4조원 → -0.1조원)
자산운용사 수신은 MMF를 중심으로 큰 폭 증가
(12.12월 -6.7조원 → 13.1월 +15.4조원)
- MMF는 전년말 일시 인출되었던 자금이 재유입된 데다 시장금리 하락으로 금리메리트가 부각되면서 법인자금을 중심으로 큰 폭 증가 (-5.8조원 → +13.8조원)
- 신종펀드는 유전펀드, 재간접펀드 등을 중심으로 증가폭이 확대(+0.7조원 → +1.5조원)
4. 기업자금 및 가계신용
13.1월중 은행의 기업대출(원화)은 연말 일시상환분 재취급 등으로 증가로 전환(12.12월 -11.8조원→13.1월 +4.7조원)
- 중소기업대출(-7.7조원→+3.1조원)은 부가세 납부수요, 은행들의 중소기업대출 확대 노력 등으로 상대적으로 큰 폭 증가
- 대기업대출(-4.1조원 → +1.6조원)도 증가로 전환
CP는 연말 일시상환분 재취급, 일부 에너지 관련 공기업의 단기자금수요 등으로 순발행 (12.12월 -2.9조원→13.1.1~20일 +3.5조원)
회사채(공모)는 신용경계감 지속, 우량기업의 자금수요 둔화 등으로 소폭 순상환 (12.12월 +0.8조원→13.1월 -0.1조원)
주식발행은 유상증자*가 줄어들면서 전월에 비해 축소(12.12월 0.7조원→13.1월 0.2조원)
* 최근 5년(08~12년) 평균 월별 유상증자 규모 : 12월 1.2조원 → 1월 0.2조원
13.1월중 은행의 가계대출(모기지론양도 포함)은 감소로 전환(12.12월 +5.6조원→13.1월 -0.8조원)
- 주택담보대출(모기지론양도 포함)은 세제 감면혜택 종료에 따른 주택거래량 급감* 등으로 증가규모가 큰 폭 축소(+5.7조원 → 13.1월 +0.4조원)
* 아파트거래량#(서울, 천호) : 12.1월 1.6 → 11월 4.8 → 12월 6.9 → 13.1월 1.2
- 마이너스통장대출 등은 성과상여금 지급 등으로 감소폭 확대(-0.1조원 → -1.2조원)
5. 통화총량
13.1월중 M2증가율(평잔기준, 전년동월대비)은 전월과 비슷한 4%대 중반으로 추정 (12.12월 4.5% → 13.1월 4%대 중반e)
- 정부부문 통화공급이 연초 재정지출 증가로 확대되었으나 국외부문 통화공급이 외국인 증권투자자금 유출로 감소로 전환된 데 주로 기인
웹사이트: http://www.bok.or.kr
연락처
한국은행
통화정책국 금융시장부
02-759-4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