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인권기록물 소장기관 회의’ 개최

- 파리인권선언, 베를린조약 등 14개 인권기록물 소장 기관 대표자 참석

광주--(뉴스와이어)--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중 민주주의와 인권 분야 기록물을 소장하고 있는 세계 14개국 기관 대표가 오는 5월 광주에 모인다.

17일 광주광역시(시장 강운태)에 따르면, 시는 유네스코와 공동으로 오는 5월15일부터 18일까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인권기록물 소장기관 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회의는 시의 제안으로 유네스코가 지난 1995년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열린다. 참가자는 238개(2011년 기준) 세계기록유산 중 광주의 5·18민주화운동 기록물을 포함해 민주주의와 인권분야 기록물을 소장하고 있는 세계 14개국의 기관 대표자를 비롯, 유네스코 본부와 한국위원회 관계자 등 50여명이다.

참여기관은 ▲프랑스의 ‘인권과 시민에 관한 권리선언’을 소장한 파리 국립중앙기록원 ▲필리핀의 ‘필리핀 민중혁명 라디오 방송’을 소장한 필리핀 홍보처 ▲폴란드의 공산권 최최의 자유노조인 ‘솔리다르노스치’ 창설로 이어진 1980년 그단스크 파업위원회가 내건 21개 요구사항 ‘그단스크 21요구’를 소장한 카타르센터 고문서보관함 ▲독일의 ‘베를린 장벽의 건설 및 붕괴와 1990년도 2+4조약’을 소장한 포츠담현대역사센터, 독일위원회 세계기록유산추진위원회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프리카민족회의 지도자인 넬슨 만델라의 1963년 재판자료인 ‘형사재판 사건번호 253/1963 국가 대 넬슨 만델라’를 소장한 국가기록보관소 등 14곳이다.

회의 참가자들은 인권 기록물의 가치를 높이는 방안과 미등재 인권 기록물을 발굴·보존하는 방안 등을 모색할 계획이다.

이에따라, 시가 오는 2014년 5월 개관을 목표로 설립 추진중인 5·18아카이브 내에 유네스코에 등재된 세계적인 인권 기록물을 전시하고, 각국을 순회·전시하는 방안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5·18기록물은 지난 2011년 5월25일 영국 맨체스터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가 결정됐다.

당시 IAC 로슬린 러셀 자문위원장은 등재 이유에 대해 “5·18민주화운동은 아시아 국가의 민주화는 물론 세계의 냉전구조가 종식되는데 기여했고 세계에서 유일하게 약탈과 방화 등이 발생하지 않은, 시민이 민주주의와 인권이라는 하나의 가치를 위해 대동단결한 민주화운동이다”고 밝힌 바 있다.

시 관계자는 “이번 회의는 5·18기록물을 포함한 유네스코에 등록된 민주·인권 기록물의 가치를 높이는 출발점이 되고, 세계 민주주의 발전과 인권 증진에 크게 기여하는 계가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광주광역시청 개요
광주광역시청은 15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 당선된 윤장현 시장이 시정을 이끌어가고 있다. 더불어 사는 광주, 사람중심 생명도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gwangju.go.kr

연락처

광주광역시
인권담당관실
박두진
062-613-207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