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중앙공무원교육원, 23개 전문교육과정 51회 1802명 교육예정
전문교육은 정부정책의 성공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시책교육, 우뇌형 창조인재 양성을 위한 창조교육, 개인별 실무역량 향상을 위한 직무교육 등 3개 분야로 이루어진다.
금년에는 새정부의 국정철학을 담은 ‘경제민주화 실천과정’, ‘국민행복 현장서비스 과정’ 등 4개 과정을 새롭게 개설했다.
중앙공무원교육원은 국가인재의 산실이자 국정동력센터로서 이들 과정의 운영을 통해 공직자들에게 신지식과 신정보의 습득은 물론 보람과 가치를 느끼면서 자긍심과 자신감을 높여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금년도 전문교육의 첫 장을 여는 ‘국가안보 정책과정’은 천안함과 연평도 포격사건 등을 계기로 ‘국가안보’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국가안보정책과 대북관계 이해를 통해 국가안보를 더욱 공고히 다져 나가자는 취지에서 2011년도에 개설했다.되었으며,
※ 국가안보 정책과정 운영실적 : 7회 운영, 355명 수료생 배출
이번 과정은 지난 2월 12일 북한이 UN안보리 대북제재 결정에 반발해 3차 핵실험을 강행한데 이어 추가적인 도발가능성을 시사함으로써 동북아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실시하는 것이어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특히, 금번에 초빙되는 김민규 강사는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한 후 러시아 주재 북한대사관에서 외교관으로 근무하다 2009년에 넘어 온 엘리트다. 그가 북한에서 생활하면서 직접 체험한 사실을 기초로 최근 북한의 실상과 외교정책 등에 대하여 특강을 실시함으로써 북한실상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앞장설 예정이다.
더불어 청와대 김희철 위기관리비서관의 ‘한반도 안보환경과 국가위기관리’를 주제로 한 기조 강의와 호사카 유지 세종대 독도연구소장의 ‘역사적 사실로 본 독도’ 등의 강의를 통해 국가의 안보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우리국토의 소중함을 일깨울 수 있도록 과정을 구성했다.
※ 제8기 국가안보 정책과정 : 2.18~2.20(3일간), 26개 기관 5급이하 공무원 60명
윤은기 중앙공무원교육원장은 “우리나라는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이자 강대국에 둘러싸인 지정학적 특수성을 갖고 있는 만큼 튼튼한 국가안보야말로 건실한 경제발전과 국민의 행복한 삶 영위에 근간이 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중앙공무원교육원은 공직자들의 안보의식 고취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안전행정부 개요
전자정부 운영, 민생치안, 재해 재난 관리, 건전한 지방자치제도 개선 및 지방재정 확립, 선거 국민투표, 공무원의 인사 및 복지, 행정조직의 관리 등을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내무부에서 행정자치부, 행정안전부, 안전행정부로 명칭이 바뀌었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는 정부청사관리소, 국가기록원,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지방행정연수원, 이북5도위원회, 경찰위원회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spa.go.kr
연락처
행정안전부 중앙공무원교육원
전문교육과
김상수
02-500-8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