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13년 상가마을공동체 활성화 사업’ 발표
서울시는 상가지역을 중심으로 상인과 지역주민이 자발적으로 공동체를 구성하여 ‘함께 만들고 소비하는 지속가능한 경제공동체’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2013년 상가마을공동체 활성화 사업’을 실시한다고 17일 밝혔다.
‘상가마을공동체 활성화 사업’이란 상인과 주민이 스스로 공동체를 구성하여 지역상권도 활성화하고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어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사업으로, 주요 지원내용으로는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활동, 전문가의 사업컨설팅, 지역사회 구성원이 함께 만드는 문화체험활동, 지역사회공헌 활동, 상권활성화를 위한 공동마케팅 활동 등이 있다.
<3.29까지 모집, 상가지역에 기반한 3명 이상의 상인과 주민 모임이면 참여 가능>
상가지역에 기반한 3명 이상의 상인과 주민 모임이면 3.29(금)까지 사업 참여 신청이 가능하고, 신청 사업에 대한 현장 조사 및 심사를 통해 4월 중 예비공동체 6~8개를 선정해 커뮤니티 활동비와 전문가의 사업컨설팅비 등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한다.
이어 7월에는 선정된 예비공동체를 대상으로 사업추진역량 및 타당성을 평가해 3~5개를 최종 선정, 지역별 맞춤형 추진을 위한 사업비로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커뮤니티 활동, 전문가 컨설팅, 지역별 맞춤형 사업 등 다양한 지원책 마련>
서울시는 선정된 상가마을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 집담회·워크숍·교육·우수사례 견학 등의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하고, 지역맞춤형 사업 기획에서 실행 전단계에 걸친 전문가 컨설팅도 지원한다.
특히 최종 선정된 공동체에 대해서는 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지역별 맞춤형 사업’ 추진을 위한 지원도 집중적으로 펼칠 계획이다.
‘지역별 맞춤형 사업’은 상권 활성화는 물론 지역사회 기여를 위해 상인과 주민이 함께 지역의 의제를 논의하고 해결방법을 찾아내는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스스로 발굴해 낸 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사업이다.
예를 들어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재능기부 활용해 개최하는 상가 내 공연·체험 행사, 상인이 강사로 활동하는 주민아카데미 또는 유아직업체험, 상가 골목길 벼룩시장 개최, 상가 공동할인행사 또는 쿠폰북 발행, 상가 홍보지도 제작 등이 지역맞춤형 사업이라 할 수 있다.
<골목상권, 특화상권, 전통시장, 상가밀집지역 등 참여가능, 3.6 사업설명회 개최>
사업 참여가 가능한 상가 유형은 ‘주거지역 인접, 소속감이 강한 다양한 주체의 공동체 형성이 가능한 <골목상권>’, ‘동종 업종이 다수 분포해 상권 활성화 사업 효과가 크고 주민·고정이용객과의 공동체 형성이 가능한 <특화상권>’, ‘상인 중심 조직적·효율적 사업추진으로 적극적인 주민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전통시장>’, ‘역세권, 대학가, 직장가 등 지역적 특수성을 활용해 이용객과 함께 사업 발굴이 가능한 <상가밀집지역>’ 등이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주민모임 또는 단체는 3월 29(금) 18시까지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www.seoulmaeul.org)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이와 함께 사업에 관심 있는 시민을 대상으로 사업내용 및 제안방법 등을 안내하기 위한 사업설명회를 3월 6일(수) 오후 3시부터 서울시 신청사 9층 공용회의실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문홍선 서울시 산업경제정책관은 “상가마을공동체 활성화 사업을 통해 서울의 상가(商街)지역이 단순히 물건만 사고 파는 곳이 아니라 상인과 주민이 함께 모여 마을의 현안사항을 고민하고 사람 사는 정을 나누는 곳으로 바뀌고 지역상권이 자생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경제진흥실
소상공인지원과
김현숙
02-2133-5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