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어린 사과나무’ 살 때는 언피해 입은 나무 주의 당부

- 우량 묘목 심어야 나무 생존율 높아

수원--(뉴스와이어)--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사과 묘목 교체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묘목 구입 시 꼼꼼하게 따져보고 언피해(동해)를 입은 묘목을 고르지 말고 양질의 묘목을 선택해야 나무 생존율이 높다고 당부했다.

올해 1월 기록적인 한파로 사과 묘목의 가지 끝이 마르는 피해가 예상되고, 앞으로 봄철 일교차가 커 영상과 영하를 넘나들 경우 묘목이 말라 죽는 경우가 많아 어린 사과나무를 구입할 때 주의해야 한다.

어린 사과나무를 생산할 때 수관이 형성된 곁가지 묘목으로 만들기 위해 접목 후 너무 많은 거름을 줘 묘목 생육이 늦게까지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 수관: 나무의 줄기와 잎이 달려 있는 줄기의 윗부분

이로 인해 봄에도 가지 끝에 마른 낙엽이 붙어 있거나, 가지 끝 부분부터 말라서 껍질이 주름져 보일 수도 있다. 심하면 곁가지뿐만 아니라 원줄기까지 윤기가 없어 보이고 또 눈이 말라서 손으로 문지르면 쉽게 부스러지기도 한다.

이러한 불량 묘목은 물 빠짐이 잘 안된 묘 포장이나 늦게까지 영양제를 잎 표면에 직접 뿌린 묘 포장, 녹지접(그 해 자란 가지에 여름에 하는 접목 방법)으로 잘 자라지 않는 묘 포장에서 특히 많이 발생된다.

따라서 사과 묘목 선택 시에는 ▶지하부(뿌리)에 비해 지상부(줄기)가 지나치게 많이 자라지 않은 묘목이 좋다. ▶가지 끝이 2차 생장을 하지 않고 꽃눈이 형성됐으며 낙엽이 완전히 된 묘목이 우수하다. ▶줄기 부위의 눈을 손으로 건드려 보아서 인편이 벗겨지지 않아야 하며, ▶가지 끝부분부터 살펴봐서 껍질이 쭈글쭈글하지 않고 껍질에 윤기가 있는 것이 좋다.

줄기 굵기에 비해 가지 굵기가 30 % 이하인 가지가 많은 묘목이 좋으며, ▶왜성대목의 길이는 20cm 정도 묻히고 20cm 정도가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총 40cm 정도의 묘목이 좋다. ▶왜성대목은 원뿌리가 많이 부러지지 않고, 잔뿌리가 많이 붙어 있는 묘목이어야 하며, ▶뿌리를 잘랐을 때 자른면이 갈변되지 않고 우윳빛으로 깨끗한 묘목이 좋다.

* 왜성대목: 나무를 작게 자라게 하는 성질을 가진 대목

또한, 가을에 캐서 뿌리가 마르지 않은 상태로 저온저장시킨 묘목이 봄에 캐서 판매되는 묘목보다 언피해를 입어 말라죽는 확률이 낮다.

농촌진흥청 사과시험장 권순일 연구사는 “나무뿌리가 잘 내려져 생존율을 높이려면 가장 우선적으로 우량의 묘목을 선택해 심어야 한다. 올해와 같이 혹독한 한파가 있는 해에는 동해 묘목이 시장에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꼼꼼하게 살펴본 후 구입해야 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사과시험장
권순일 연구사
054-380-312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