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작물이 자라지 않는 원인은 ‘물’

- 토양진단 후 물 공급횟수 줄이고 관비처리는 각별히 주의

수원--(뉴스와이어)--겨울철 시설재배지에서 나타나는 작물 생육부진은 양분 부족 탓이 아니라 토양에 수분이 많은 것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에 수분이 많을수록 온도가 낮아져 양분이 녹아 나오지 못하거나 녹은 양분도 손실되기 때문이다.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겨울철 토양 수용성 양분 조사결과, 토양에 유효인산이 많아도 온도가 낮아 물에 녹지 않고 유기물도 분해되지 않아 수용성 인산이나 질소가 부족한 곳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작물은 온도가 낮아지면 뿌리에서 광합성 산물을 이용해 토양의 온도를 끌어올리며 버티고, 이때 토양에 물이 많으면 온도를 높이는데 많은 광합성 산물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줄기나 잎에서 이용해야 할 광합성 산물을 뿌리에서 많이 사용해 작물이 잘 자라지 못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많은 농업인들은 작물이 자라지 않는 원인을 양분 부족으로 알고,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계속 비료와 물을 주면 작물이 잘 자라지 않고, 양분 과잉 현상이 된다.

특히 토양에 수분이 많으면 토양 속 산소가 모자라 환원상태로 바뀌면서 아질산가스가 생겨 질소가 부족하게 된다. 또한 철의 흡수가 많아져 뿌리가 갈색으로 변하기도 하고, 심하면 뿌리가 죽어 풋마름병 등 각종 병을 일으키게 된다.

농촌진흥청은 이에 따라 겨울철 토양양분관리 요령으로 작물에 물 주는 횟수를 여름철 대비 절반 이하로 줄일 것을 당부했다.

또한 작물이 자라지 않으면 무조건 비료를 주기보다는 반드시 토양분석을 실시해 양분이 부족할 경우에만 관비(비료를 물에 녹여 주는 방법)로 처리해야 하며, 특히 관비 처리시 토양에 수분이 많을 때는 0.01 % 킬레이트제(DTPA)나 퇴비차를 주고, 토양에 수분이 적을 때는 양분을 0.3 %(1L의 물에 비료 3g을 녹임)의 농도로 토양 수분이 과잉되지 않는 범위에서 줄 것을 추천했다.

농촌진흥청 토양비료과 김유학 연구관은 “겨울철 시설재배지 작물 생육 부진은 양분 부족보다는 낮은 기온과 토양 수분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라며, “토양양분관리 못지않게 저온과 토양수분 관리에도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토양비료과
김유학 연구관
031-290-0328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