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향토자원 명품 브랜드로 거듭나다…지리적표시단체표장의 진화

대전--(뉴스와이어)--특허청(청장 김호원)에 따르면, 2012년 12월말 현재 161건(국내 152건, 외국 9건)의 향토자원이 지리적표시단체표장으로 등록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별로는 전남이 42건을 등록하여, 국내 전체 등록건(152건)에서 약 28%에 해당하는 가장 많은 지리적표시단체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전북이 22건을 등록하여 14%를 차지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농산물과 임산물이 각각 30건으로 전체의 약 39%를, 수산물은 26건(17%), 축산물은 6건(약 4%)이 등록되어 있다.

최근 3년간에 등록된 지리적표시단체표장은 115건으로 전체 등록건의 74.2%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 지리적표시단체표장에 대한 지자체의 관심이 증가한 이유는 지역 향토자원이 지리적표시 단체표장으로 등록된 후, 소득 및 고용 창출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 행사와 연계를 통한 지자체의 이미지 제고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파악되고 있다.

지리적표시 단체표장의 역할 증대는 표장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초기의 지리적표시 단체표장은 “장흥 표고버섯, 고흥 유자” 등과 같이 지역명과 상품명이 단순히 결합되어 등록된 반면, 최근에는 향토자원 및 지역적 특성을 세련된 이미지로 표현하는 경향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명과 상품명이 결합된 단순한 브랜드보다는향토자원 및 지역적 특성을 잘 조화시킨 소비자 친화적인 브랜드가 향토자원의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각인시키기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포항물회는 ‘11년도에 일본에 출원하였고, 독도 전복·소라는 ’12년도에 중국, 스페인, 네덜란드, 러시아에 출원하는 등 지자체의 지리적표시 단체표장이 지역의 대표에서 대한민국의 대표로서, 세계속으로도 뻗어 나가고 있다.

주정규 특허청 상표1과장은 “향후, 약 400여건의 지역 특산품이 지리적표시단체표장으로 출원될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지자체의 지리적표시단체표장이 해외로 진출하는 사례가 증가하여, 우리 특산품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지게 되는 기반이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특허청 개요
특허청은 특허와 실용 신안, 디자인(의장) 및 상표에 관한 사무와 이에 대한 심사, 심판 사무를 수행하는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관, 산업재산정책국, 정보기획국, 고객협력국, 상표디자인심사국, 기계금속건설심사국, 화학생명공학심사국, 전기전자심사국, 정보통신심사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기관으로 특허심판원과 특허청서울사무소, 국제지식재산연수원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kipo.go.kr

연락처

특허청
상표디자인심사국
상표1심사과
사무관 민경묵
042-481-535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