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가계부채상담센터 47개소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로 통합·개편
시는 기존의 3종 47개소(재무상담창구 17개소, 가계부채 종합상담센터 25개소,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5개소) 가계부채 관련 상담센터를 10개 내외의 권역별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로 통합한다고 밝혔다.
통합·개편 이전 준비 시점인 2~3월에는 재무상담창구와 가계부채상담센터가 2월까지 운영을 마무리하며, 3월 한 달 동안은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만 운영된다.
서울시는 인력 및 상담 기능을 권역별 센터에 집중하는 통합개편을 통해 수요자 니즈(Needs)를 고려한 상담자 중심의 맞춤형 가계부채 상담서비스를 제공, 그동안의 센터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고 배경을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해 5월 47개소 가계부채 상담센터를 개설한 이래 12월 말까지 총 1만2천여 건의 상담, 1,080건의 채무조정을 실시하는 등 다양한 성과를 거뒀음에도 불구하고, 오픈된 상담공간·채무자 중심이 아닌 채권자 중심의 상담·대기시간 지연 등의 문제가 나타나기도 했다.
이에 서울시는 이번 개편을 통해 ▴전용상담실 마련 ▴복지 경험 갖춘 재무상담사 채용 ▴센터당 상담사 3~5명 배치 ▴출장상담 및 법원 동행서비스 등 채무자 중심의 상담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하기로 했다.
공간의 경우, 기존 자치구 가계부채종합상담센터가 민원실에 오픈된 형태로 설치돼 있어 상담자의 사생활 보호 및 심층상담이 어려웠던 점을 반영해 별도의 독립된 폐쇄형 ‘전용상담실’로 개선한다.
인력의 경우, 센터당 3~5명의 상담사를 배치할 계획이며, 이 때 재무 관련 전문성과 함께 복지 관련 실무 경험도 동시에 갖춘 인력으로 재무상담사를 채용해 채무자 중심의 상담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자치구 가계부채 상담센터나 재무상담창구의 경우 상담사가 1명에 불과해 앞 사람의 상담이 길어질 경우 오랜 시간을 대기할 수 밖에 없었다.
대부분의 상담사들이 금융기관 출신임에 따라 수요자인 채무자 중심의 상담이 아닌 채권자인 금융기관 관점의 상담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더해 시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출장·예약상담’ 및 ‘법원 동행서비스’ 등을 제공함으로써 상담의 효율성과 시민 만족도 또한 높여나갈 계획이다.
한편, 기존 가계부채 상담인력은 4월 새롭게 개편되는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의 채용절차에 따라 공정하게 채용될 예정이다.
최동윤 서울시 경제진흥실장은 “가계부채상담센터 통합·개편을 통해 인력 운용 및 운영의 내실을 기하고, 채무자 우선 서비스를 제공해 나가겠다”며, “이를 통해 가계부채로 고통 받고 있는 시민들이 어려움을 예방하거나 해소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서비스를 적극 지원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경제진흥실
소상공인지원과
오인섭
02-2133-5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