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신입사원 뽑고 싶다”…기업 따라 선호유형 달라

- 대기업…책임감, 협조를 잘하는 유형

- 중소기업…성실함, 일을 끝까지 해내는 유형

서울--(뉴스와이어)--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채용하고 싶어 하는 신입사원의 유형 조사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가 대기업 및 중소기업 596개사를 대상으로 <채용하고 싶은 인재 유형>에 대해 조사한 결과, 대기업에서는 ‘책임감’을 꼽은 인사담당자가 52.3%로 가장 많았고, 중소기업은 ‘성실성’을 꼽은 인사담당자가 73.3%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 다음으로는 대기업은 성실성(44.2%) 적극성(43.0%) 창의력(31.4%)과 끈기(31.4%)가 있는지 중요하게 살펴보겠다는 답변이 높았고, 중소기업은 이어 책임감‘(63.5%)과 적극성(56.3%)을 높이 평가하겠다는 답변이 높았다.

대기업은 상대적으로 추진력(15.1%)과 도전정신(15.1%) 끈기(31.4%)를 중요하게 살펴보겠다는 답변이 중소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성실성(73.3%)과 책임감(63.5%) 적극성(56.3%)을 중요하게 보겠다는 답변이 대기업에 비해 높았다.

성격유형 검사방식의 한 종류인 MBTI 검사의 결과를 나타내는 16가지 유형을 보기문항으로 <채용하고 싶은 신입사원 유형>에 대해 조사한 결과,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채용하고 싶은 신입사원 유형이 달랐다. 대기업은 ‘성실하고 온화하여 협조를 잘하는 유형’(39.5%)을 중소기업은 ‘한번 시작한 일은 끝까지 해내는 유형’(39.4%)의 직원을 채용하고 싶다는 답변이 가장 높았다.

이 외에 대기업은 친절과 현실감을 바탕으로 타인에게 봉사하는 유형(27.9%) 열정적으로 새로운 관계를 만드는 유형(25.6%) 한번 시작한 일은 끝까지 해내는 유형(25.6%)의 신입사원을 채용하고 싶다는 답변이 높았고, 중소기업은 이 외에 친절과 현실감을 바탕으로 타인에게 봉사하는 유형(31.4%)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우호적인 유형(29.8%)의 직원을 채용하고 싶다는 답변이 높았다.

잡코리아 김은정 차장은 "성격유형 검사도구인 MBTI 유형으로 본 결과도 기업이 선호하는 신입사원은 기존 조사결과와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다만 기업규모에 따라 신입사원에게 요구하는 역할에 있어 상대적인 차이가 순위에서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업무능력과 책임감만큼이나 상사를 보필하고 동료를 지원하는 직원을 선호하고(대기업 선호 1위 ‘임금 뒤편의 권력형’), 직원이 적은 중소기업은 개개인이 자신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 조직적으로 일을 잘 처리하는 책임감이 강한 직원을 선호한다(중소기업 선호 1위 ‘세상의 소금형’)” 고 설명했다.

또한 “전반적으로 ‘친선도모형’이나 ‘사교적인 유형’이 높은 점이 주목할 만 하다.”며 “요즘 기업들은 협조적이고 즐거운 분위기를 주도하는 신입사원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맡은 일을 잘 하면서 동료애가 있고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신입사원이 선호되는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잡코리아 개요
잡코리아는 세계 최대 온라인 리쿠리트 사이트인 몬스트닷컴과 함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서 기업에게는 글로벌 인재 확보의 기회를, 구직자들에게는 글로벌 기업으로의 취업과 세계 시장 진출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jobkorea.co.kr

연락처

잡코리아
커뮤니케이션팀
현영은 과장
02-3466-520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