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스토리텔링형 아파트 공동체 활성화 사례집 발간
도시의 대표적 주거형태인 공동주택 내에서 층간소음 분쟁, 고독사 등 이웃에 대한 무관심과 갈등이 깊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공동체적 가치의 회복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서울시는 아파트 공동체 회복을 위한 기반조성을 위해 2011년부터 공동체 활성화 사업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고, 2012년 공동주택 공동체 활성화 사업성과를 사례집으로 발간한 바 있다.
이번 사례집은 아파트 주민의 참여와 자치구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성공적으로 실시된 공동주택 커뮤니티 활동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자치구와 500세대 이상 아파트에 무료로 배부한다.
‘공동주택 커뮤니티 활성화 사례집’으로 두 번째 발간되는 이 책에는 살아있는 아파트 현장의 우수사례, 커뮤니티 전문가 수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가 사는 아파트가 공동체 활성화 사례를 통해 무엇이 어떻게 좋아졌는지 변화된 모습을 느낄 수 있고, 주민 스스로 공동체의 리더가 되어 가는 과정을 매뉴얼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시민 여러분이 손쉽게 읽고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아파트, 이웃이 행복이다’의 수록내용 소개 >
제1장은 공동주택 커뮤니티 활동을 절약하는 아파트, 텃밭 가꾸는 아파트, 화합하는 아파트, 배움이 있는 아파트, 책 읽는 아파트, 나눔이 있는 아파트 6가지 분야로 나누어 이웃들과 함께하는 생생한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엮었다.
(절약하는 아파트) 도봉구 참동 삼성아파트는 매월 15일 전세대가 참여하는 소등행사, 전기계약방식 변경, 지하주차장 LED 조명 교체 등을 통해 관리비를 절감하였다. 또한‘에너지 축제’(자가발전거로 주스 만들기, 절전 멀티탭 만들기)를 통해 주민들에게 에너지 절약 의식을 확산시켰다.
(텃밭 가꾸는 아파트) 은평구 응암푸르지오 아파트에서는 ‘이야기가 있는 초록어울림’으로 공동체활성화 단체 누리회 회원들이 도시농부의 친환경 텃밭 가꾸기, 초록카페 벽화 그리기 등 친환경, 녹색아파트를 열어가고 있다.
(책 읽는 아파트) 구로구 서울가든빌라에서는 ‘무관심의 창고에서 어린이의 꿈이 자라는 곳으로’ 탈바꿈하였다. 엄마랑 아이가 함께하는 팝업북 만들기, 동화책으로 배우는 영어, 그리고 엄마들을 위한 냅킨아트, 리본공예를 진행하였다.
제2장은 서울시가 공동주택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2011년부터 지원한 아파트에서 지속되고 있는 이웃들의 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중랑구 신내6단지는 2011년 서울시 첫 시범사업으로 주민커뮤니티 공간으로 꿈꾸는 도서관을 주민스스로 개관하여 2012년에는 도서관에서 삶의 즐거움을 느끼고 생활의 활력을 찾아가고 있다.
양천구 목동11단지는 2년째 공동체 활성화사업을 한 단지로 2011년 아나바다 녹색장터를 시작으로 2012년에는 주민 모두가 함께 에너지 절약과 그를 통해 관리비를 줄이는 활동으로 이어져가고 있다.
제3장은 공동주택에서 주민들의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활동한 커뮤니티 전문가들이 주민들과 함께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보람된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동대문구 커뮤니티 전문가 김명선씨 수기로, 동대문구 답십리 래미안 엘파인 아파트의 이야기로 이 곳은 기존에 도서관을 준비하면서 상당수의 도서를 주민들에게 기증을 받았다.
기증 받은 책에서 돈봉투를 발견해 기증자에게 연락해 돈을 돌려드렸는데, 그 돈은 부인 몰래 숨겨둔 비상금으로 부인이 책을 도서관에 기증하는 바람에 의도치 않은 곳에서 빛을 보게 된 사연 등 따뜻한 미담이 소개되어 있다.
또한, 2013년에도 커뮤니티 전문가는 구청에서 관할 구역 내 전 단지를 대상으로 공동체 활성화 관련 전화 상담 및 방문 상담도 병행하게 된다.
제4장은 ‘우리 아파트 커뮤니티 사용설명서’, ‘나의 커뮤니티 리더 스타일’, ‘이웃과 소통하는 step by step’, ‘우리 아파트가 달라졌어요’ 등의 커뮤니티 활성화 매뉴얼이 수록되어 있다.
<사례 전파와 공유를 통한 공동체 확산 기대>
‘아파트, 이웃이 행복이다’ 책자는 서울시 공동주택 단지에 배부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비치하여 시민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건기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우리시에서 지원한 공동주택 공동체 활성화 사업 우수사례 및 매뉴얼을 책자로 제작하여 시민과 함께 공유함으로써, 이웃과 소통하는 행복한 아파트 주거문화를 만드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주택정책실
공동주택과
조희정
02-2133-7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