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12개 작물 병해충 예찰·조기경보시스템 연구 착수

- 채소, 화훼작물 돌발병해충 감시체계 강화

수원--(뉴스와이어)--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최근 기후변화와 농산물 교역량 증가로 돌발병해충 발생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돌발병해충의 효율적 관리와 농작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채소·화훼작물 돌발병해충 예찰법 표준화 기술 및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연구’에 착수했다.

이번 연구는 올해부터 2015년까지 3년간 진행되며,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식량과학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 9개 도 농업기술원 등 총 12개 기관이 참여해 공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연구를 통해 배추, 무, 마늘, 양파, 수박, 오이, 참외, 파프리카, 딸기, 인삼, 장미, 국화 등 12개 작물에 발생하는 돌발병해충 및 주요 관리대상 병해충 71종에 대한 진단 매뉴얼 및 지침서를 작성하고, 전국 단위의 조기경보 예찰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범국가적 병해충의 신속한 대응을 위해 예찰, 진단, 방제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일괄적으로 병해충 업무를 관리할 수 있는 ‘국가농작물 병해충 관리시스템(NCPMS)’을 업그레이드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작물보호과 심홍식 연구관은 “기후변화나 농업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병해충은 자연생태계의 균형을 파괴할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방제가 어려워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돌발병해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시켜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작물보호과
심홍식 연구관
031-290-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