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농업인이 시장·가격 주도’ 유통환경 만든다
- ‘생산자 중심의 산지유통시스템’ 구축 추진…3년간 43억 투입
농업인이 농산물 시장을 주도하고 가격을 결정하는, 생산자가 ‘갑(甲)’ 역할을 하는 유통환경을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26일 도에 따르면, 생산자 중심의 산지유통시스템 구축은 ▲통합마케팅 조직 육성 조례 제정 ▲전략품목 선정·집중 육성 ▲규모화 된 생산자 조직 육성 ▲시·군, 광역단위 통합마케팅 조직 육성 및 활성화 ▲생산·유통 일원화 지원시스템 구축 등을 5대 실천과제로 설정했다.
투입 예산은 올해부터 2015년까지 3년간 43억원이다.
5대 과제를 구체적으로 보면, 공선출하조직·통합마케팅 조직 육성 조례는 산지유통 정책의 실효성과 지속성 담보, 예산 지원 근거 마련 등을 위한 것으로 연내 제정키로 했다.
전략품목 선정 및 육성은 올해부터 3년간 6개 품목에 6억원을 투입, 도내 주요 농산물에 대한 규모화·조직화를 통해 농업인이 가격·시장을 지배할 수 있는 통합마케팅조직(광역유통사업단)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시·군 단위 규모화 된 생산자 조직 육성은 2015년까지 공동 선별·출하 조직 50개를 육성한다는 계획으로, 1곳당 매년 2000만원씩 모두 19억원을 투입한다.
시·군, 광역 단위 통합 마케팅 전문조직은 내년부터 2년간 18억원을 들여 6개소를 육성하며, 생산·유통 일원화 지원 시스템 구축은 산지 유통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생산·유통 분야 사업과 연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생강이나 토마토, 딸기 등 도내에는 전국 재배면적 대비 점유율이 높은 품목은 많으나,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규모화·조직화된 품목은 미비해 시장교섭력이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라며 “생산자 중심의 산지유통시스템이 구축되면 농업인이 시장과 가격에서 주도권을 갖게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도는 올해 농협 충남지역본부와 협력사업을 통해 지역 농업 성장 리드 품목을 선정해 집중 육성, 규모화·전문화를 통한 시장 교섭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충청남도청 개요
충청남도청은 210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0년부터 안희정 도지사가 시정을 이끌고 있다. 충남도청의 4대 목표는 출산∙양육을 책임지는 충남,노인이 살기 좋은 충남, 균형발전을 선도하는 충남, 일자리가 풍부한 충남을 만드는 일이다. 안희정 도지사는 선심성 공약 남발을 막기 위해 스스로 매니페스토 공약집 발표하고 한국매니페스토운동본부와 함께 공약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chungnam.net
연락처
충청남도청
농업정책과
농산물유통담당 최영길
041-635-4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