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사회적경제 활성화 정책’ 추진

- 민간파트너 발굴 및 현장 실천 강화로 내실있는 확산에 중점

대전--(뉴스와이어)--충청남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회적경제’ 정책을 2013년도에는 ‘민간파트너 발굴 등 사람을 통한 사회적경제 확산’에 중점을 두고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는 ‘충남 사회적경제 5개년계획’의 1차년도로, ‘사람 중심의 공동체 경제’라는 비전과, ‘사회적경제영역 확대 및 민간주도 사회적경제 정착’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본격적으로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충남도는 그동안 전국 최초로 ‘충청남도 사회적경제 육성지원조례 마련’ 및 ‘충남 사회적경제 5개년계획’등 제도적 근거와 중장기 전략을 마련하였고, 추진 체계 간 유기적 협조체계 구축 등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힘써 왔다.

하지만, 사회적경제에 대한 대내외적 공감대 부족 및 시군 현장에서의 체감도 미흡, 사회적 경제 현장 활동가 민간파트너 발굴·연계 부족 등이 사회적경제가 현장으로 확산되기 위해 풀어야할 과제로 나타났다.

충남도는 이를 위해 기존 시책 10개와 신규 시책 6개 등 16개 시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눈에 띄는 시책으로는 첫째, 사회적경제 주체의 역량강화와 도민 인식제고를 위한 ‘사회적경제 아카데미’의 접근성 강화이다. 보다 많은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시군 공무원과 시민사회 단체, 민간 학습 소모임 등 5명 이상이 신청하면 어디든지 찾아가서 교육 커리큘럼과 강사를 지원할 계획이다.

둘째, ‘우수사회적기업 육성’을 통한 충남형 모델의 발굴 확산이다. 사회적기업 중 우수기업에 대해 네트워크 확대, 협업사업 및 지역문제 해결 등 사회적경제 가치를 확산하는 프로젝트에 대해 지원할 계획이다.

셋째, ‘마을기업에 대한 오피스업무 지원’이다. 구성원의 대부분이 고령층인 마을기업에게 찾아가는 현장 전문 멘토제, 온라인 상담 코너 등을 운영하여 행정적 업무 경감으로 본연의 사업 아이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넷째 ‘사회적경제 시군 현지화’ 추진이다. 지역자원을 활용한 ‘특화사업’ 및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소셜벤처’ 육성을 통해 사회적경제가 사업 현장에 착근되고 조직화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협동조합 지원체계 구축’이다. 협동조합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협동조합 현장지원센터 운영’ 및 현장 중심 교육 강화를 통해 제도 시행 초기 혼란을 방지하고 조기 정착을 유도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예비)사회적기업 55개 지정 및 마을기업 30개 육성 등 사회적경제 주체 확대, 네트워크 구축 및 중간지원조직 육성 등 생태계 조성을 위한 다양한 시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최운현 충남도 경제통상실장은 “사회적경제는 시장이나 국가가 충족시키지 못하는 다양한 지역사회 필요를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해결하는 영역”인 만큼, “민간부문의 참여와 현장 실천 강화에 중점을 두어 사회적경제가 내실 있게 확산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충청남도청 개요
충청남도청은 210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0년부터 안희정 도지사가 시정을 이끌고 있다. 충남도청의 4대 목표는 출산∙양육을 책임지는 충남,노인이 살기 좋은 충남, 균형발전을 선도하는 충남, 일자리가 풍부한 충남을 만드는 일이다. 안희정 도지사는 선심성 공약 남발을 막기 위해 스스로 매니페스토 공약집 발표하고 한국매니페스토운동본부와 함께 공약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chungnam.net

연락처

충청남도청
일자리경제정책과
사회적경제담당 성영순
041-635-3328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