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김진효 박사 논문, 사이언스에 게재 화제

- 캐나다 대학 연수중 개발한 ‘인플루엔자 치료제’ 연구논문 실려

수원--(뉴스와이어)--농촌진흥청 연구원이 쓴 논문이 세계적 권위의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익스프레스’ 최신호에 게재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화학물질안전과 김진효 박사가 지난 2006년부터 캐나다 브리티쉬 콜럼비아 대학 연구원으로 연수시절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위더스 박사 (Dr. Withers) 연구진과 공동 개발한 ‘인플루엔자 치료제’ 관련 연구논문이 2월 22일자 사이언스 익스프레스에 실렸다고 밝혔다.

논문명은 ‘Mechanism-based covalent neuraminidase inhibitors with broad spectrum influenza antiviral activity(광범위 인플루엔자 치료 기능을 갖는 공유결합형 뉴라미니데이즈 억제물질)’로, 김 박사의 이름이 주저자로 올려져 있으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화학물질안전과 소속으로 소개돼 있다.

인플루엔자는 조류나 인체 등에서 독감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해마다 겨울철이면 인플루엔자로 인한 독감이 대유행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막대한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현재 인플루엔자 감염환자 치료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과 확산에 관여하는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라는 효소와 결합해 활성을 억제하는 타미플루와 렐렌자 등의 약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 이 약물에 대한 내성 바이러스 발생이 증가해 새로운 인플루엔자 치료제 개발이 요구돼 왔다.

김 박사가 캐나다 대학에서 공동 연구 개발한 인플루엔자 치료제는 당의 일종인 시알릭산(sialic acid)의 분자구조를 변형시켜 만든 약물로써, 기존 치료제와는 달리 뉴라미니데이즈의 핵심 부위에 강력히 결합해 활성을 억제하도록 설계해 기존 치료제 내성바이러스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치료제는 약 35억 달러 수준의 인플루엔자 치료제 시장에서 높은 가치를 가질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2012년 미국 특허를 취득했고 유럽과 중국에도 특허 출원 중에 있다.

김 박사는 2009년 3월 캐나다에서 귀국해 현재 농촌진흥청 화학물질안전과에서 천연물을 활용한 새로운 친환경 농업 소재 개발 연구를 수행 중이다.

농촌진흥청 화학물질안전과 김두호 과장은 “세계적인 학술지 사이언스에 주저자로 이름을 올린 연구원이 농촌진흥청에 근무하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기쁜 일이다.”라며, “앞으로 김진효 박사가 또 한번 훌륭한 연구성과를 거둬 사이언스에 논문이 게재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화학물질안전과
김진효 연구사
031-290-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