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스트 앤 설리번, 세계 바이오뱅킹 자동화 시장 분석 보고서 발표
- 샘플량이 급격히 늘어나는 것이 바이오뱅크 자동화를 부추겨
프로스트 앤 설리번 한국지사가 발표한 ‘세계 바이오뱅킹 자동화 시장 분석 보고서(Global Biobanking Automation Market, http://www.healthcare.frost.com)에 따르면, 2011년 해당 시장은 약 8억 1,8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으며, 2018년 시장 수익은 약 14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번 조사는 automated liquid handling systems과 robotics, automated compound storage, 샘플 관리 시스템, 실험실 정보 관리 시스템(LIMS) 및 소모품들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프로스트 앤 설리번의 디비아 라비쉬안카(Divyaa Ravishankar) 수석 연구원은 “유럽이나 미국에서 치료법을 찾기 위해 시행 중인 새로운 질병에 기반된 바이오뱅크 프로젝트들은 자동화에 대한 엄청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환자군 샘플 수는 급증하고 자동 저장장치도 계속 개발되고 있어 더 많은 샘플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바이오뱅크 용량은 날로 향상되고 있다.“고 전했다.
바이오뱅킹 워크플로우에 자동화가 확립된다면 필수 기술인 생체시료저장(Biorepositories)은 물론 비용 혜택까지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실험실 정보 관리 시스템(LIMS)으로 인해 바이오뱅킹 자동화는 더욱 활성화 될 거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라비쉬안카 연구원은 “실험실 정보 관리 시스템(LIMS) 발달로 대학이나 바이오 기술 업체, 제약사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도록 가상 바이오뱅크(virtual biobanks) 및 중앙식 데이터뱅크 모델과 같은 플랫폼들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이런 플랫폼들은 R&D가 진행 중에도 어느 때나 어느 연구원이든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고 전했다.
한편 바이오마커 애플리케이션의 자동화를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적 사운드 포트폴리오가 필요하다. 또한 기술 선도기업이나 학술 바이오뱅크, 소규모 현지 업체들과의 전략적 제휴 및 파트너쉽을 통해 시장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라비쉬안카 연구원은 “대부분의 현지 업체들은 모듈러 시스템들 뿐만 아니라 안정된 배급망을 보유하고 있다. 글로벌 업체들은 다요소 시스템(multi-component systems)을 제공하는 형식으로 이 업체들과 전략적 파트너쉽을 맺음으로써 현지 업체들의 배급망을 활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개요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Frost & Sullivan)은 1961년 미국 뉴욕에서 설립된 글로벌 시장조사 및 컨설팅 기업으로, 현재 전 세계 29개국 47개 지사에서 약 2,000명의 전문 인력이 근무하고 있다. 본사는 실리콘밸리 인근에 위치하며, 모빌리티, 에너지, 정보통신기술(ICT), 제약·바이오 등 다양한 산업 분야를 대상으로 시장 분석, 전략 자문, 실행 지원, 벤치마킹 툴(Frost Radar™) 등을 제공한다. 또한 ‘성장 파이프라인 서비스(Growth Pipeline as a Service)’ 모델을 통해 디지털 전환 및 기술 기반 메가트렌드 분석을 수행하고, 기업의 중장기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한국에는 2003년 서울 사무소를 개설하여 국내 기업과의 협업을 이어오고 있으며, 포용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기업 문화를 바탕으로 글로벌 네트워크와의 연계를 지속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frost.com
연락처
프로스트 앤 설리번 인터내셔널
홍보팀
이미옥 대리
02-6710-2033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