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
- 전국 문화예술기관에서 570여 개 체험프로그램 운영(3~12월, 토요일)
※ ‘꿈다락’은 ‘나의 비밀스러운 꿈의 아지트’라는 뜻으로 예술이 펼치는 세상, 놀이가 주는 즐거움을 함축하고 있음
이 사업은 주5일 수업제 전면 실시를 계기로 휴무 토요일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학교 밖’ 문화예술 체험 기회를 확대 제공하고자 시작하게 되었으며, 2012년에는 151개 프로그램을 운영한바 있다.
각 지역의 다양한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진행하는 토요 프로그램은 전국의 박물관, 미술관, 문화원, 문예회관 등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에서 주관하게 되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전문가 컨설팅 및 모니터링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내실있는 운영이 가능하도록 사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은 원하는 프로그램의 운영 주관 기관으로 신청을 하면 되며,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교육진흥원이 운영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http://toyo.arte.or.kr)를 참조하면 된다. 1차 336개 프로그램은 3월부터 운영하며, 2차 프로그램은 4월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참가비는 무료이나, 학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경우 주관 기관이 학부모에게 실비의 10% 범위에서 참가비를 받을 수 있다. 다만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자에게는 무료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이 청소년의 건강한 여가문화 개발 및 바른 인성 함양, 또래 간·가족 간 소통을 통한 화합, 지역 예술인 일자리(강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개요
문화, 예술, 체육, 관광, 종교, 미디어, 국정홍보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 부처이다. 2008년 문화관광부와 국정홍보처, 정보통신부의 디지털콘텐츠 기능을 통합해 문화체육관광부로 개편했다. 1차관이 기획조정실, 종무실, 문화콘텐츠산업실, 문화정책국, 예술국, 관광국,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을 관할하며, 2차관이 국민소통실, 체육국, 미디어정책국, 아시아문화중심추진단을 맡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문화재청, 대한민국예술원, 한국예술종합학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국어원, 국립중앙도서관, 국립극장, 국립현대미술관, 국립국악원, 국립민속박술관, 한국영상자료원, 해외문화홍보원, 한국정책방송(KTV) 등을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cst.go.kr
연락처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과
사무관 강성태
02-3704-9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