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농가형 농산물 소득분석 프로그램 개발보급
- 농가 소득분석과 함께 우수농가의 사례도 배울 수 있어
프로그램을 활용하고자 하는 농가는 해당 농업기술센터 담당자와 상담하면 사용방법 등을 안내받아 개별적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프로그램에는 지난해 영농기록 결과를 분석하는 소득분석 기능과 지난 10년 동안의 농산물 소득자료 검색기능과 지난해 농산물 소득을 기준으로 어떤 작목을 선택해 얼마나 재배할 것인지를 상담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작목별 우수농업 경영체 검색 기능과 농업정보관련 사이트 연계기능 등이 있다.
소득분석 프로그램은 지난해 지은 농사에 사용된 비용을 제하고 나면 얼마의 소득을 올렸는지 알 수 있으며, 한 번에 최대 5작목의 10a당 수익성과 농장 전체의 수익성을 알 수 있다.
즉, 상담 농가의 판매량과 판매액을 입력하고 농기계, 영농시설, 토지 등 고정재비와 종자비, 비료비, 농약비, 노력비, 제재료비 등 변동비를 간단히 입력하면 한 해 동안의 조수입, 경영비, 소득 등 수익성을 알 수 있다.
작목선택 프로그램은 농가가 관심 있는 작목과 보유하고 있는 기술수준을 선택한 후 재배 면적을 입력하면 10a당 작목별 및 농장 전체 예상 수량, 조수입, 경영비, 소득을 그래프로 볼 수 있다.
상담 농가의 경영면적과 작목별 기술수준에서 작목을 선택하면 지난해 소득을 기준으로 어떠한 작목을 얼마나 재배해야 농장 전체적으로 소득이 높은지 예상할 수 있다.
특히, 농가가 선택한 작목에 대한 월별 노동시간도 한 눈에 그래프로 볼 수 있어 투입될 경영비와 노동력 조달 계획도 수립할 수 있다.
우수경영체 검색기능은 위의 소득예상 프로그램에서 선택한 작목에 대해 우수사례를 배울 수 있도록 도와준다.
※ 농촌진흥청 및 농식품부 등에서 발굴한 120작목 647 경영체의 성공사례를 작목별 경영혁신 유형별로 분류하여 검색
- 경영혁신유형: 수량증대, 가격제고-품질향상(신품종도입, 품질향상기술), 가격제고판로개척(전자상거래, 수출), 가격제고-조직화, 비용절감(물재비, 노력비), 가공융합
이 프로그램은 시군농업기술센터에서 조사한 감자, 토마토, 사과, 장미 등 58작목과 통계청에서 조사한 벼, 건고추 등 5작목의 최근 10년 동안의 농축산물 소득분석 자료를 근거로 엑셀의 매크로와 함수기능을 이용해 개발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이동식저장매체(USB)에 저장해 사용매뉴얼 책자와 같이 보급했으며, 농촌진흥청 홈페이지 농업경영정보종합시스템(AMIS)에서도 내려 받아 이용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기술경영과 이상영 과장은 “앞으로 소득분석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농가가 컴퓨터에 경영현황을 기록할 수 있는 경영기록장을 추가하겠다.”라며, “이를 소득분석 프로그램과 연계해 전국평균 또는 소득 상위농가와 비교해 농가의 경영위치를 알 수 있도록 발전시킬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기술경영과
최칠구 연구관
031-299-2302
-
2018년 4월 13일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