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공유자원포털 전면 개편…공공정보 개방 확대
행정안전부는 스마트폰 보급대수가 3천만대를 넘은 이른바 ‘스마트 시대’를 맞아 앱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접속할 수 있는 공공정보를 지속적으로 민간에 개방하고 있으며, 이번 22종 개방으로 총 35종의 정보를 개방하는 것이 된다.
공공정보는 민간 개발자들이 스마트폰 앱 개발 등에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오픈 API 방식으로 서비스하게 된다.
※ 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자신이 보유한 정보나 애플리케이션들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타 정보 시스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기술로서, 교통, 기상 등 수시로 변하는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받아볼 수 있게 함
35종의 실시간 정보 이외에 전통문양정보(한국문화정보센터), 고전번역서(한국고전번역원) 등은 현재 8만건의 원문 데이터가 공개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추가로 4월중 30만건, 상반기말까지는 총 80만건을 개방할 계획이다.
이와 아울러 공공정보를 쉽게 찾아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국가 공유자원포털(www.data.go.kr)’의 통합검색 기능, 이용자 활용지원 기능 등도 대폭 개선된다.
이번 개선을 통해, 현재 국가 공유자원포털에 등록된 공공정보 외에 국가지식포털(www.knowledge.go.kr)에 등록된 1,600만여 건의 과학·학술·문화 분야 정보까지 한꺼번에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이용자 편의기능도 개선해 일대일 상담, 공공정보 활용 가이드 및 국내외 활용사례 등을 제공하고, ‘공공정보활용지원센터’를 통한 제공기관과 이용자간 공공정보 중계도 지원한다.
장광수 행정안전부 정보화전략실장은 “공공정보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민간 개방은 전 세계적인 흐름으로 ‘국민 중심 서비스 정부 3.0 구현’이라는 정부의 국정과제 실천을 위한 핵심 추진사항”이라며, “가치 있는 공공정보를 민간이 자유롭게 활용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제공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전행정부 개요
전자정부 운영, 민생치안, 재해 재난 관리, 건전한 지방자치제도 개선 및 지방재정 확립, 선거 국민투표, 공무원의 인사 및 복지, 행정조직의 관리 등을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내무부에서 행정자치부, 행정안전부, 안전행정부로 명칭이 바뀌었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는 정부청사관리소, 국가기록원,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지방행정연수원, 이북5도위원회, 경찰위원회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spa.go.kr
연락처
행정안전부
정보자원정책과
박경주
02-2100-3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