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환절기 성장별 돼지관리 요령 안내
- 성장단계 따른 적정온도 맞춰줘야
돼지는 다른 가축에 비해 성장단계별로 적정 사육온도 범위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돈사 환경관리가 더욱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큰 돼지가 더위에 약한 것과 달리 작은 돼지는 추위에 매우 취약하며 특히, 분만돈사는 30℃ 내외의 고온이 필요한 갓 태어난 새끼돼지와 16℃가 적정온도인 어미돼지가 한 공간에서 사육돼 관리가 어렵다.
또한 돈사 내 온도관리에 치중하다 보면 자칫 환기가 안돼 습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해 환경관리에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돼지 성장단계별 사양관리 요령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젖을 떼지 못한 새끼돼지는 환절기 일교차 또는 샛바람에 노출될 경우 자체 체온유지 능력이 부족해 소화력이나 면역력이 떨어져 허약한 돼지로 성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새끼돼지 전용 보온등 또는 보온상자를 유동적으로 활용해 주어야 한다.
젖을 떼고 이유를 하는 새끼돼지는 새로운 돈군이 돈방 내 서열정착 등의 이유로 스트레스가 많은 시기이며 특히 환절기 일시적인 온도 차이가 5℃ 이상이 되면 질병 저항력이 크게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그래서 이 시기에 사육밀도가 높으면 면역력이 떨어져 만성소모성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돈군의 전출입(All-in, All-out)을 계획적으로 실시하는 등의 세심한 사양관리가 필요하다.
한 칸에 여러 마리를 키우는 비육돈사는 환절기 때 혹한기를 대비한 돈사 보온을 위해 외벽을 밀폐하고, 온도에 따라 배기팬의 속도가 자동 조절되는 기계적 환기를 하기 때문에 환기량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이 방법은 돈사내 유해가스 발생량과는 맞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관리자가 직접 가스발생량과 바깥온도를 고려해 환기팬을 수동으로 조정·관리하는 방법도 필요하다.
또한 모돈은 임신초기 일교차에 의한 바깥온도 변화가 수태율과 1회에 태어날 수 있는 새끼의 수인 산자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낮에는 돈사 내 햇볕이 들어올 수 있도록 충분히 환기를 해주고 밤에는 반드시 창문을 닫아주어 호흡기 질병에 감염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또한 사료는 신체충실지수(BCS)에 따라 조절해서 먹여야 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양돈과 박준철 연구관은 “돼지의 생산성을 높이고 유전적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환절기에 돼지 성장단계에 따라 최적의 사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라며 “차단방역과 아울러 농장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질병을 제어하는 등 농장 내 생산성 저해요인을 줄이는 안목도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양돈과
박준철 연구관
041-580-3445
-
2018년 4월 13일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