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통일인문연구단, 러시아 이창주 교수 초청 ‘통일 패러다임’ 석학강연 26일 개최
이창주 석좌교수는 러시아와 한국을 오가며 미·중·러 등 강대국 중심의 국제관계, 한반도의 평화와 남북통일 방안 등에 대해 활발하게 연구하고 가르치는 한편, 국제한민족재단 상임이사, 세계한민족포럼 조직위원장을 겸임하면서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코리언의 만남과 소통에도 기여하고 있는 실천적 학자다.
이날 강연회에서 이창주 교수는 국제사회의 양대 강국인 미국과 중국 내의 최근 권력재편을 소개한 뒤, 이 두 나라가 동북아시아에서 패권경쟁을 본격화하고 있는 시대를 맞아 어떻게 하면 한반도에 해빙 무드를 가져올 수 있을지에 대해 강의할 예정이다.
이 교수는 2012년 12월 초에 출간한 ‘한반도 시계: 미·중의 그랜드 아시아전략과 한반도’(이창주 지음,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기획, 도서출판 선인)라는 제목의 책에서 이번 강연주제에 대한 시론을 이미 제시한 바 있다. 그로부터 3개월 정도 지난 현재 한반도는 언제 남북 간 군사적 충돌이 일어날지 모르는 불안한 상태에 놓여 있다.
이창주 교수는 이번 강연에서 위의 책 출간 이후 발생한 여러 상황까지 반영해서 남과 북이 화해를 넘어 그가 ‘한반도 평화 모델의 당위적이고 가장 이상적 형태’라고 평가하는 ‘자주적 남북통일’로 어떻게 나아갈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강의할 예정이다.
김성민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장은 “이창주 교수의 강연은 한반도 문제를 바라보는 러시아의 시각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며 “격동하는 국제관계 속에서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지혜를 모아가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건국대학교 개요
독립운동의 맥동 속에서 태어난 당당한 민족사학 건국대학교는 1931년 상허 유석창 선생께서 의료제민(醫療濟民)의 기치 아래 민중병원을 창립한 이래, 성(誠) 신(信) 의(義) 교시를 바탕으로 ‘교육을 통한 나라 세우기’의 한 길을 걸어왔다.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서울캠퍼스와 충북 충주시 충원대로 GLOCAL(글로컬) 캠퍼스에 22개 단과대학과 대학원, 4개 전문대학원(건축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경영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10개 특수대학원을 운영하며 교육과 연구, 봉사에 전념하고 있다. 건국대는 ‘미래를 위한 도약, 세계를 향한 비상’이란 캐치프레이즈 하에 새로운 비전인 ‘르네상스 건국 2031’을 수립, 2031년까지 세계 100대 대학으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신지식 경제사회를 선도하는 글로벌 창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onkuk.ac.kr
연락처
건국대학교
홍보실
02-450-3131~2
이메일 보내기